(제342회-본회의-제3차)
제342회 구리시의회(제2차정례회)
본 회 의 회 의 록
제3호
구리시의회사무과
일 시 : 2024년 11월 22일 (금) 10시
장 소 : 본회의장
의사일정(제3차본회의)
1.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 보거의 건
부의된안건
1.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 보거의 건(경제재정국, 복지문화국, 환경관리사업소, 시립도서관)
○의장 신동화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342회 구리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를 개의하겠습니다.
오늘 처리하실 안건은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 보고의 건이 되겠습니다.
1.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 보거의 건(경제재정국, 복지문화국, 환경관리사업소, 시립도서관)
맨위로
|
○의장 신동화 그럼, 의사일정 제1항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 보고의 건을 상정합니다.
오늘 의사일정에 따라 경제재정국 복지문화국 환경관리사업소 시립도서관 소관 사항 순으로 업무보고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경제재정국 소관 사항에 대하여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김진희 경제재정국장께서는 보고에 임해 주시기 바랍니다.
○경제재정국장 김진희 안녕하십니까?
경제재정국장 김진희입니다.
연일 계속되는 정례회 활동으로 노고가 많으신 존경하는 신동화 의장님과 의원 여러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금부터 경제재정국 소관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경제재정국은 5개 과의 18개 팀으로 96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보고 순서는 일자리경제과 산업지원과 세정과 징수과 위생안전과 순으로 의원님들께서 양해하여 주신다면 2024년 주요성과는 서면 보고로 갈음하고 2025년 업무계획 중심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그럼, 일자리경제과부터 보고드리겠습니다.
536쪽입니다.
일자리경제과는 김영준 과장을 중심으로 4개의 팀에 22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4개의 전략과제와 12개의 주요 추진 과제를 수립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청년의 기회 확대 및 삶의 질 향상 소상공인 역량 강화 지역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지원 강화를 통해 활력 있는 경제도시를 만들어 나가고자 합니다.
계속해서 추진 과제별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549쪽 소상공인 지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입니다.
지난 7월 설치된 구리시 상권 활성화재단 내의 소상공인 지원 정책 전담 기구인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를 활성화하여 라이브커머스 지원 및 온라인 쇼핑몰 설치 등 소상공인 판로확보와 배달비 및 물품 지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습니다.
다음은 550쪽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 정책 확대입니다.
공모사업과 환경 시설개선 골목형 상점가 지정에 따른 홍보 및 이벤트 지원 등 남양시장 상권 활성화 적극 지원과 골목상권상인회 3개소 추가 지정을 비롯해 상점가 지정 희망 상권 발굴 등을 적극 추진하고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다음은 551쪽 구리사랑상품권 운영 활성화입니다.
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고 소상공인 매출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충전 인센티브 지급 할인가맹점 및 QR결제 가맹점 모집 확대 등 구리사랑상품권 사용 촉진을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553쪽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 추진입니다.
「고용정책 기본법」에 따라 민선 8기 일자리 창출 종합계획을 2022년 12월 수립하였습니다.
2025년에도 연차별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 일자리 창출 추진 실적을 보고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겠습니다.
다음은 554쪽 취업 기술 취득 및 취업역량 강화 지원입니다.
구직자의 취업 기술 취득 지원을 위하여 일자리센터는 커피 바리스타 자격증 취득 등 11개 과정 새일센터는 사회복지 행정실무 등 6개 과정으로 총 17개 과정을 운영하겠습니다.
다음은 555쪽 전통시장 활성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입니다.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 사업 추진을 위한 상급 기관 공모사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으며 구리 전통시장을 고객들이 언제든지 찾아오는 대표적인 명소로 육성 발전시키기 위해 장보기 서비스 시설물 개선 지원 사업을 실시하여 전통시장 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
특히 구리 전통시장 제2공영주차장의 운영 안정화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시설물 하자 처리 운영 홍보 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주차장 운영 방안을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558쪽 상권 활성화재단 운영 지원입니다.
내년에도 상권 활성화재단은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구리시 전 지역의 상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상권분석을 통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발굴하여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559쪽 청년 내일센터 운영 활성화입니다.
2025년도에는 구리시 청년 내일센터가 일자리 문화 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청년 활동의 거점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다양한 청년정책 프로그램을 발굴하여 추진하겠습니다.
특히 청년들의 성장과 자립을 지원해 명실상부 구리시 청년정책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더욱더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561쪽 외식 창업지원 시설인 공드린 주방 운영 활성화입니다.
2024년 2월 제3기 입주자 총 13명을 선발하여 시설 지원과 위생 및 창업 컨설팅 등 다방면으로 지원한 결과 기존 입주자 및 초기 창업가임에도 불구하고 분기별 약 4억 5,000만 원에 상당하는 연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매출이 증가하면서 직원 및 라이더 채용 등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제4기 운영에도 최선을 다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겠습니다.
다음은 562쪽 청년 창업 플러스 지원입니다.
경기도 내 거주 중인 39세 이하 청년 창업가를 대상으로 1년 차에는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2년 차에는 청년 창업가의 청년 추가 고용 시 인건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우리시는 2년 차에 해당하여 기선발된 10명의 청년 창업가들이 청년을 추가 고용하는 경우 1인당 연 2,400만 원 이내의 인건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563쪽 올인원 청년정책 추진입니다.
구리시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체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구리시 홈페이지 내 청년정책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구리시 청년 포털”을 청년정책 홍보 및 소통 창구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어서 564쪽입니다.
지역 내 청년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하여 청년협의체 공개모집 및 운영 방식을 개선하고 청년정책 제안 청년의 날 행사 등과 연계 운영함으로써 청년의 시정 참여 확대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다음 565쪽입니다.
청년들의 사회적 참여 및 청년 문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한 청년의 날 행사를 추진하고 청년 인재풀을 조성하여 청년의 시정 참여 기회 확대 및 권익 향상을 위해 힘쓰겠습니다.
다음은 566쪽 청년의 자립 기반 및 생활 안정 지원입니다.
청년 기본소득 지급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 사업 청년 노동자 통장사업 청년 구직자 면접 정장 대여 지원 등 청년들의 권익 향상 및 생활 안정을 위한 지원 업무에도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음은 568쪽 소상공인 특례 보증 및 이자 지원 지속 추진입니다.
경기침체 및 고금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내 소상공인들을 위하여 소상공인 특례 보증 및 이자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에 힘쓰겠습니다.
다음은 569쪽 물가안정 및 소비자 보호 추진입니다.
소비자 보호를 위해 상담센터를 연중 운영하고 물가안정을 위해 주기적인 물가 조사 실시 및 착한가격 업소 지정을 확대하겠습니다.
다음은 571쪽 구인 구직 맞춤형 일자리센터 운영입니다.
구리시민의 종합적인 취업 지원을 위하여 지역 일자리 목표 계획과 연계한 일자리센터 운영으로 구인 구직 서비스 제공과 취업 지원 및 취업 기술 취득 프로그램 운영 채용행사 등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다음은 572쪽 경력 보유 여성 종합 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입니다.
구리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들에게 취업 상담 직업교육훈련 인턴십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 종합적인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양질의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 단절 예방을 통해 여성의 경제적 자립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다음은 573쪽 노동자 복지증진 및 지원센터 운영 강화입니다.
노동법률상담 취약 근로자 법률구조 이동 노동자 쉼터 운영 산업재해 예방 활동 및 노동자단체 지원 사업을 꾸준히 전개하여 노동자의 권익 신장과 복지증진에 기여하겠습니다.
다음은 574쪽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취업 활동 지원입니다.
청년을 대상으로 인턴 알바 등 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의 인재와 기업을 매칭하여 지원함으로써 청년과 지역경제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다음은 575쪽 취약계층 직접 일자리 사업 지속 추진입니다.
민간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운 취업 취약계층에게 공공근로 지역공동체 일자리 등 공공분야 직접 일자리를 제공하여 서민 생활을 안정화시키겠습니다.
이상으로 일자리경제과 업무보고를 마치고 이어서 산업지원과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580쪽입니다.
산업지원과는 윤갑성 과장을 중심으로 4개 팀에 23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4개의 전략과제와 16개의 주요 추진과제를 통해 중소기업 육성 농업경쟁력 강화 및 동물 복지증진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계속해서 추진과제별 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593쪽입니다.
반려동물 놀이터 설치 확대입니다.
반려동물과 함께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반려동물 놀이터 조성 사업입니다.
지난 9월 말 갈매 협동공원 인창 중앙공원 내 반려동물 놀이터를 추가 개장하여 권역별 반려동물 놀이터 4개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에는 반려동물 놀이터를 단순한 놀이공간이 아닌 반려동물과 시민이 함께하는 반려 문화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594쪽 구리 농촌체험 6차산업 육성 및 지원입니다.
체험농업 활성화를 위해 도시농업 활성화 확대 도시농부 체험 텃밭 조성 및 운영 스마트팜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2025년에도 사업을 확대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596쪽 승마 체험 관광 활성화 지원입니다.
시민의 승마 체험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고 승마의 대중화를 통한 건전한 여가 기회 제공 및 말 매개 체험으로 심리치유 스트레스 해소 등을 지원하기 위해 승마 체험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승마시설 확대 등을 통한 지역경제와 관광 활성화 기반을 조성하겠습니다.
다음은 598쪽 창업 혁신 공간 북동부권 구리 운영입니다.
창업 혁신 공간 북동부권이 갈매 휴밸라인 지식산업센터 4층에 2025년 1월 정식 개소 운영될 예정으로 경기도 경제과학진흥원과 함께 우수 창업기업을 유치하고 입주기업 육성을 위한 각종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창업 생태계 구축과 갈매 지식산업센터가 활성화 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599쪽 4차산업 혁신성장 센터 부지 매입 및 활용입니다.
4차산업 혁신성장 센터 부지 매입은 2025년 상하반기로 나누어 총 39억 5,300만 원의 4차 중도금 및 잔금을 납부하여 소유권을 취득하도록 하겠습니다.
부지 활용계획은 구리시 대규모 개발사업과 연계하여 수요조사 및 관련 용역 등을 통해 시설을 설치하고 시설 공사 이전까지는 도시농부 체험 텃밭으로 활용하겠습니다.
다음 600쪽 기업 투자유치 지원 사업 추진입니다.
2025년도에는 많은 기업들이 구리시로 이전 설립될 수 있도록 기업 유치 지원 사업에 대하여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홍보를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신규 투자 희망 기업을 상시 모집하고 반기별로 신청기업에 대한 승인 등이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602쪽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지원 및 환경조성입니다.
경영 안정화를 위한 중소기업 자금지원 지속가능한 성장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기업 지원 우수 제품 공예품 개발 육성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여 중소기업 육성과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604쪽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 제고 및 에너지 안전 공급입니다.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 지원 사업과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 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여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향상과 에너지 안전공급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605쪽 구리시 도시농부 체험 텃밭 활성화입니다.
2023년 인창동 텃밭 개장을 시작으로 2024년에는 갈매동 자족 시설 용지 무상사용 허가를 통해 텃밭을 추가 조성하고 농업 기술교육을 이수한 구리시민 약 450세대가 도시농업을 체험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인창동 텃밭과 갈매동 텃밭을 계속해서 운영하여 시민들에게 도시농업 체험과 지역사회 나눔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겠습니다.
다음은 607쪽 안전하고 신선한 농산물 공급 지원입니다.
지역 농산물의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농산물 직거래장터 로컬푸드 무인 판매대 등을 운영하고 먹거리 취약계층 나눔 활동 및 공급 지원을 위해 수확 농산물 기부활동 등을 추진하겠습니다.
이어서 608쪽입니다.
생애주기별로 우수농산물을 공급하고 농산물 고품질 생산 및 투명한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한 농산물 우수관리제도 통과를 위한 안전성 분석 지원 원산지 표시 감시원 운영 등을 통해 시민의 먹거리 안전성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609쪽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체험 운영입니다.
‘찾아가는 도시농업 프로그램’과 ‘학교 체험 텃밭’ 운영을 통해 시민들에게 녹색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건강한 치유와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겠습니다.
다음은 611쪽 농업경쟁력 강화 및 농촌지도 추진입니다.
농업 농촌진흥 자금지원을 통한 농업 경영 활성화를 지원하고 농업인 복지 후생 도모와 농업 유통 및 생산 활동을 지원하겠습니다.
이어 614쪽입니다.
농업인회관이 농업인과 시민의 소통의 장이 되도록 시민들에게 농업을 더 알리고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직거래장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진하겠습니다.
다음 615쪽 유기동물 입양 및 반려동물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유실 유기동물 예방 및 구조보호를 강화하고 돌봄 취약가구 반려동물 의료서비스 지원 등을 통해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를 조성하며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을 통해 민원 해결 및 지역주민 간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겠습니다.
다음은 619쪽 축산업 육성 및 가축 질병 청정화입니다.
축산물 소비 기반을 확대하고 양봉산업 및 축산업에 대한 지원으로 안정적인 축산환경을 조성하며 가축 방역시스템 구축을 통해 구제역 고병원성 AI 등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업무를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621쪽 반려동물 문화센터 이전 건립 추진입니다.
반려인과 반려견이 공원과 어우러진 친자연적인 공간에서 모두 안전하고 독립적으로 뛰어놀 수 있도록 구리시 반려동물 문화센터 이전 사업을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622쪽 사회적 경제기업 발굴 및 육성 추진입니다.
사회적 경제 가치 동행 아카데미를 운영하여 창업에 필요한 전문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사회적 경제기업 전환을 희망하는 사람에게 사회적 경제기업 마중물을 지원하겠습니다.
이어서 624쪽입니다.
청소년 체인지 메이커 교육을 통해 관내 학생들에게 사회적 경제 가치를 알려 사회적 경제 인식 확산에 힘쓰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626쪽 사회적 경제 민관 협업체계 운영입니다.
구리시 사회적 경제 민관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워크숍을 실시하여 선진사례 및 우수사례 발표 등 성과 공유회를 통해 지역 순환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습니다.
다음은 627쪽 사회적 경제 홍보 및 판로지원입니다.
사회적 경제 제품 홍보 및 판로지원을 위하여 사회적경제 제품 온라인 전용 몰인 e-store 36.5도 입점을 추진할 계획이며 사회적 경제 기업 제품 우선구매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업무협약을 통한 협업을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관내 공정무역 활동가들과 협업하여 공정무역에 대한 홍보와 폭넓은 시민 참여를 이끌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628쪽 자립 능력 향상을 위한 마을공동체 활성화입니다.
마을공동체 주민 제안 공모사업과 우수공동체를 선발하고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연중 실시하여 자립 능력 향상을 도모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산업지원과의 업무보고를 마치고 이어서 세정과 보고드리겠습니다.
634쪽입니다.
세정과는 강은옥 과장을 중심으로 4개 팀에 22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4개의 전략과제와 13개의 주요 추진과제로 납세자가 공감하는 세정운영 및 지방세 징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계속해서 추진 과제별 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641쪽입니다.
지방세 징수목표액 달성입니다.
2025년도 구리시 지방세 세입은 전년도 대비 약 5.8% 감소한 2,323억 3,400만 원으로 시세는 전년도 수준인 1,249억 400만 원 도세는 전년도 대비 10% 이상 감소한 1,074억 3,000만 원을 징수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 지방세 징수목표액 달성을 위해서 정확한 과세자료를 정비하는 한편 매월 체납고지서를 일제 발송하고 알림톡을 통해 납부 안내를 실시하는 등 징수율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642쪽 납세자 중심의 적극 세무 행정 추진입니다.
납세자가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납세 편의 시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납세자 권익보호를 위해 마을 세무사와 대리인 제도를 운영하겠습니다.
또한 시민의 알권리 충족을 위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세금정보와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다음은 643쪽 납세자권익보호를 위한 미환급금 제로화 추진입니다.
빈틈없고 정확한 과세자료 정비를 통해 지방세 과 오납 사례를 줄이고 납세자에게는 미환급금 정보를 적극 안내하여 미환부율을 최소화함으로써 신뢰받는 세정행정을 구현하겠습니다.
다음은 644쪽 민원 편의를 위한 적극적 지방세 신고 처리입니다.
놓치기 쉬운 신고 납부 세목에 대하여 인허가 부서와 협업으로 대상자를 찾아내어 사전 안내를 통해 사후에 추징 사유나 가산세가 발생하지 않도록 맞춤형 안내를 실시하겠습니다. 또한 납세자의 편의를 위해 세정과를 방문하지 않고 시청 내의 인허가 부서에서 등록면허세를 바로 처리할 수 있도록 원스톱 민원 서비스를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645쪽 공평과세 및 세원 발굴을 위한 세무조사 추진입니다.
지방세 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세무조사 대상 30개 법인을 선정하고 공정한 세무조사를 실시하여 탈루 누락 세원을 방지하겠습니다.
다음은 646쪽 비과세 감면 부동산의 엄정한 사후 처리입니다.
지방세 비과세 또는 감면 부동산에 대하여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사후관리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목적 외 사용 시 감면 세액을 추징함으로써 공평과세를 실현하겠습니다.
다음은 647쪽 생애최초 주택 감면 전수조사 및 신고 알림입니다.
최근 부동산 거래량은 감소하고 있으나 생애 최초 주택 취득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생애최초 주택은 감면 세액이 최대 200만 원에 이르고 특히 2024년 1월부터는 출산 양육 가정이 생애 최초 주택 취득 시 감면 세액이 최대 500만 원으로 상향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한 홍보 및 감면 요건 안내문을 정기적으로 발송하여 의무 사항 위반 사례를 사전 예방하겠습니다.
다음은 648쪽 자주 재원 확충을 위한 재산세 징수 목표 달성입니다.
정부의 지속적인 보유세 완화정책으로 세수 증가율이 둔화됨에 따라 2025년도 재산세 징수는 전년도 485억 원 대비 7억 원 증가한 492억 원으로 목표하고 있습니다.
재산세 징수 목표 달성을 위해 과세자료를 철저하게 정비하고 비과세 감면 및 중과세 대상에 대한 현장 조사를 강화하여 세입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겠습니다.
다음은 649쪽 공정하고 합리적인 시가표준액 운영입니다.
재산세 건강보험료 등 조세의 부과 기준이 되는 개별주택가격과 건축물 시가표준액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산정하여 공평과세의 기틀을 마련하겠습니다.
다음은 651쪽 지방소득세의 공정·명확한 독립 과세 구현입니다.
2025년도 지방소득세 징수 목표는 종합소득분 60억 원 양도소득분 50억 원 법인소득분 70억 원 특별징수분 120억 원으로 총 300억 원입니다.
적시성 있는 신고 안내와 납부 홍보 국세청 과세자료의 철저한 대사를 통해 세원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고 납기내 징수율 제고에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652쪽 소득세 원스톱 신고 창구 운영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인 5월 1개월간 구리세무서와 합동으로 별관 2층에 신고 창구를 운영하여 국세와 지방세를 한 곳에서 신고할 수 있도록 납세 편의를 제공하겠습니다.
다음은 653쪽 위택스를 통한 지방소득세 간편 신고·납부 추진입니다.
지방세 전자신고 납부 시스템인 위택스를 통한 지방소득세 간편 신고 및 납부방법을 적극 홍보하여 납세자의 편의를 증진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세정과 업무보고를 마치고 계속해서 징수과 보고드리겠습니다.
658쪽입니다.
징수과는 이영희 과장을 중심으로 3개 팀에 16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고금리 등 어려운 경제여건에서 건전 재정운용을 위한 안정적 세입관리와 신속한 체납처분 행정제재 새로운 징수기법 발굴 등 강력한 체납징수 활동으로 자주 재원 확충을 위한 공정한 징수 행정 구현을 목표로 업무를 추진하겠습니다.
계속해서 추진과제별 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666쪽입니다.
공정하고 투명한 시 금고 선정 및 관리입니다.
현재 농협과 국민은행의 시 금고 약정기간이 2025년 말로 만료 예정임에 따라 차기 시 금고 지정이 필요합니다.
금고 지정은 행정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하고 금고 안정성과 시에 대한 금리 지역사회 기여 실적 등 재정적 측면과 시민의 이용 편의성 측면 등을 고려하여 투명하고 합리적인 기준과 절차에 따른 금고 지정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667쪽 지방재정 안정을 위한 체계적인 세입 관리입니다.
정확하고 신속한 세입 처리 및 결산으로 세입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세입 징수액 분석으로 합리적인 세입추계를 예측하여 안정적인 지방재정 운영에 기여하겠습니다.
또한 우수 시군 벤치마킹으로 신규 세원 발굴을 통해 세입 증대 및 가용 재원을 확보하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668쪽 세외수입정보시스템 사용자 맞춤형 교육 추진입니다.
차세대 세외수입정보시스템의 유형별 업무별 수준별 교육을 진행하여 담당자가 상황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다각화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추진할 계획입니다.
교육을 통해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는 효율적인 세외수입 관리로 민원 만족도 향상 및 세외수입 징수율 극대화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음은 669쪽 지방세 체납액 맞춤형 징수 활동 추진입니다.
2025년 지방세 체납액 정리 목표율을 이월체납액의 49%로 설정하였습니다.
고액 체납자에게는 강력한 체납처분을 생계형 체납자에게는 정리 보류 및 복지 연계를 실시하여 체납액 정리 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670쪽 지방세 체납액 징수를 위한 체납처분 활동 강화입니다.
지방세 1,000만 원 이상 고액 체납자에 대해서는 관세청에 체납처분을 위탁하여 수입 물품 매각으로 체납액에 충당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통신망 등에 체납자 명단 공개를 실시하겠습니다.
다음은 671쪽입니다.
지방세 3,000만 원 이상 고액 체납자에게는 철저한 실태조사로 악의적 체납자에 대해 경기도 및 법무부와 연계하여 출국금지를 실시하겠으며 인허가 부서에 관허사업 제한을 요청하여 강력한 행정제재를 기반으로 체납액 징수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이어서 672쪽입니다.
지방세 50만 원 이상 체납자 중 부동산 소유자에 대해 부동산 압류를 추진하고 납부하지 않을 시 한국자산관리공사를 통해 공매처분을 실시하겠으며 신용정보기관에 체납자의 공공정보를 등록하여 자진 납부를 유도하겠습니다.
다음은 673쪽 체납자 고가차량 표적추적 번호판 영치입니다.
매주 2회 주야간 자동차 번호판 영치를 실시하여 체납된 지방세를 납부하도록 독려하며 영치 후에도 계속 미납 시에는 차량 공매를 실시하겠습니다.
특히 고가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소재지를 집중 탐색하고 차량 발견 시 족쇄를 장착하여 운행 불가 조치 후 자진 납부를 유도하며 징수율 제고에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674쪽 지방세 고액 상습 체납자 가택 수색입니다.
재산 은닉 등 납세를 회피하는 고액 체납자는 가택 및 사업장을 수색하여 현금 또는 고가의 동산을 확보하는 등 강도 높은 체납처분을 실시하겠으며 고가의 동산은 전자 공매 강제매각을 추진하여 공매 대금으로 체납액을 충당하여 징수율 확대에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675쪽 지방세 체납자의 가상자산 압류 추진입니다.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재산을 가상자산으로 은닉한 고질 체납자의 체계적인 체납처분이 요구됩니다.
가상자산거래소에 체납자의 가상자산 보유 현황 조회를 요청하여 자산 발견 시 즉시 압류와 추심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676쪽 특정 금융 거래 정보 활용을 통한 체납자 처분입니다.
납부 회피나 세금 탈루가 의심되는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에 대해서는 금융정보분석원에 특정 금융 거래 정보를 요청하여 체납자의 숨겨둔 재산을 적극적으로 추적하고 추징하겠습니다.
다음은 677쪽 자주 재원 확충을 위한 세외수입 체납처분 강화입니다.
세외수입 체납자를 체계적으로 관리 분석하고 다양한 징수기법을 발굴하여 유형별로 맞춤형 징수 활동을 전개하겠습니다.
다음은 678쪽 세외수입 고액 상습 체납자 징수 활동 강화입니다.
세외수입 또한 고액 상습 체납자 징수 활동 강화를 위해 책임징수담당제를 실시하고 고질 체납자에게는 가택 수색 등 강도 높은 징수 활동을 전개하겠습니다.
또한 재산을 은닉하기 쉬운 사각지대인 가상자산에 대한 보유 여부 조회와 압류를 추진하여 선제적인 세원 발굴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음은 679쪽 부서 간 협업을 통한 효율적인 세외수입 체납관리입니다.
세외수입 체납관리는 각 부서 간 협업이 중요한 만큼 징수대책 보고회를 분기별로 실시하여 징수 현황을 공유하고 부서별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부과 담당자의 전문성을 제고하여 이월 체납액을 최소화하겠습니다.
또한 「체납고지서 one-stop 발송서비스」를 운영하여 체납처분 및 행정제재 체납고지서 발송까지 징수과에서 통합 관리하여 행정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겠습니다.
다음은 680쪽 지방세 세외수입 카카오 알림톡 체납고지서 발송입니다.
체납고지서를 카카오 알림톡으로 발송하여 종이고지서 제작비용 및 우편발송 비용의 절감으로 예산 절감 및 탄소중립을 실천하겠습니다.
「전자문서법」을 근거로 체납 내역을 카카오 알림톡으로 발송하여 번호를 모르거나 실거주지가 불분명한 체납자에게도 체납 내역 안내가 가능하도록 징수율 증대에 기여하겠습니다.
이와 같이 2025년에도 선택과 집중으로 고액 상습 체납자에 대하여 체납징수 신기법 발굴 체납액 징수 우수 시군 벤치마킹 등을 통한 빈틈 없는 체납처분과 행정제재로 강력한 징수 활동을 전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징수과 보고를 마치고 계속해서 위생안전과 보고드리겠습니다.
684쪽입니다.
위생안전과는 양언종 과장을 중심으로 3개 팀에 13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식품 공중 축산업의 건전한 영업풍토 조성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위생업무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계속해서 추진 과제별 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693쪽입니다.
음식문화 개선 사업입니다.
안전한 식문화 정착을 위하여 우수음식점 지정 사업 추진 위생 등급제 지정 음식점 확대 추진 덜어먹기 등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의 음식문화 확산 안심식당 및 모범음식점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식품진흥기금을 활용하여 식품위생업소 지원 및 위생 강화를 위한 사업을 시행하겠으며 소비자 식품위생감시원의 식품위생 감시 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성 교육으로 활동 역량 강화를 위해 힘쓰겠습니다.
다음은 695쪽 식중독 예방관리 사업입니다.
식중독 발생 시 신속 대응을 위하여 관리체계를 유지하고 유관기관과 모의훈련을 실시하여 상황 발생 시 즉시 현장 출동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습니다.
단체 급식시설에 대한 사전 안전관리를 위한 지도점검과 식중독 예방 진단 컨설팅을 실시하겠습니다.
시민과 음식점 등에 식중독 주의 정보를 알림톡으로 홍보하여 식중독 예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696쪽 이·미용 산업 활성화 및 위생 수준 향상입니다.
영세 미용업자의 미용기술 재교육 지원을 통해 최신 미용기술을 향상시켜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2025년에는 이 미용 미용업소 840개소를 대상으로 공중위생 서비스 평가를 실시하겠습니다.
공중위생 서비스 평가는 영업자가 자율적으로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써 평가 결과 우수업소에 대하여는 베스트 업소 표지판을 제작하여 업소에 부착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697쪽 식품 공중 축산물 등 위생업소 인허가 관리입니다.
현재 관리되고 있는 업소 현황으로 식품위생업소는 5,239개소 공중위생업소는 1,055개소 축산물위생업소 521개소 노래연습장 95개소입니다.
관련 법령에 따라 인허가 사항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겠습니다.
다음은 699쪽 구리시 어린이 사회복지 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입니다.
2024년 6월 말까지 관내 어린이급식소 140개소에 대하여 위생 영양 관리를 지원하였습니다.
2024년 7월 1일부터 어린이 사회복지 급식관리지원센터로 통합 운영됨에 따라 2025년도에는 사회복지시설 30개소를 추가하여 급식소 지원을 하겠습니다.
위탁업체는 삼육대학교 산학협력단으로 위탁 기간은 2023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에 대한 위생 영양지원 및 다양한 특화사업을 진행하여 소규모 급식소의 질적 향상 및 위생관리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다음은 701쪽 위생 안전사고 예방 및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입니다.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계절별·업종별 위생 점검을 실시하고 위생관리 사각지대 지도점검과 부정 불량식품을 특별 관리하여 식품안전사고 예방과 안전한 먹거리 환경에 힘쓰겠습니다.
또한 공중위생업소 위생 수준 향상과 건전한 노래연습장 영업 환경조성에도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다음은 702쪽 어린이 식품 안전성 확보 및 식생활 개선입니다.
관내 32개의 학교 200미터 구역 내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 116개소에 대하여 지도점검을 통해 부정 불량식품 판매를 근절하겠으며 어린이 기호식품 전담 관리원 8명을 활용한 책임 구역제를 지정하여 상시 모니터링하겠습니다.
다음은 703쪽 식품 등의 위해 방지를 위한 수거검사 강화입니다.
위해 식품 사전 차단을 위하여 유통매장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유통 식품과 농축 수산물을 수거 검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겠으며 유통되는 수산물은 방사능 검사 및 동물의약품 검사를 확대 실시하여 시민 불안감을 해소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704쪽 배달앱 등록 음식점 위생 점검 강화입니다.
온라인 식품매장 규모가 크게 성장하면서 배달주문 음식도 급증하여 위생 안전관리가 요구됨에 따라 구리시 배달음식점 950여 개소에 대한 특별 점검을 실시하여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배달 음식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705쪽 마지막 페이지인 유통 축산물 위생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축산물판매업소 정기 점검 및 수거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설 추석 명절에는 특별 점검을 실시하여 소비자가 안전한 축산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축산물판매점과 식육포장처리업소에 대한 위생관리 라벨지 비용을 지원하여 유통거래 투명성을 확보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경제재정국 소관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긴 시간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장 신동화 김진희 국장님 장시간 성실하고 꼼꼼하게 보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복지문화국 소관사항에 대하여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원덕재 복지문화국장께서는 보고에 임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문화국장 원덕재 복지문화국장 원덕재입니다.
의정활동에 노고가 많으신 존경하는 신동화 의장님과 의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지금부터 복지문화국 소관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 순서는 직제순위에 의한 복지정책과 노인장애인복지과 가족복지과 평생학습과 문화예술과 순으로 보고드리겠습니다.
복지문화국은 5개 과 21개 팀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정원 현재 103명입니다.
의원님들께서 양해해 주시면 2024년도 성과는 서면으로 갈음하고 2025년도 업무계획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복지정책과 소관 공약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복지정책과는 조영훈 과장과 4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721쪽입니다.
국가유공자 처우개선 전국 최고 수당 지급입니다.
우리 시 국가유공자 및 유족들에게 실질적인 도움 및 예우를 다하고자 2024년 조례를 일부 개정하여 2025년 1월부터 보훈 명예 수당을 월 30만 원으로 인상하고 사망한 참전유공자 배우자 복지수당을 월 15만 원으로 인상하였습니다.
또한 6.25 전쟁 참전 영웅 수당을 신설하여 월 10만 원을 지급하여 국가유공자의 예우와 복지를 전국 최고의 수준으로 높여 나가겠습니다.
722쪽 보훈 단체장 활동 운영비 지원입니다.
보훈 단체장 활동비를 월 50만 원 지원하여 보훈단체 회원들 간의 소속감을 다지고 화합을 도모하여 우리 시 보훈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723쪽 저소득층 초 중 고 학생 스마트기기 지원입니다.
2024년도에 저소득층 초등학생 53명에게 태블릿PC를 지원하였고 2025년도에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저소득층 초등학교 1학년생에게 태블릿PC를 지원하여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차별이 없는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724쪽 저소득층 홈서비스 제공입니다.
2024년도에 취약한 환경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홀몸 어르신 등 83가구에 대하여 소규모 집수리 지원 청소 방역소독 등 정기적인 홈서비스를 제공하였고 2025년도에는 100가구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홈서비스 제공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725쪽 저소득층 장례 지원 서비스 추진입니다.
고인의 존엄성을 지키고 사회복지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저소득층 장례 지원 서비스를 250만 원으로 현실화하여 지원하고 서비스를 몰라서 지원받지 못하는 시민들이 없도록 철저히 홍보하겠습니다.
다음으로 복지정책과 소관 주요업무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726쪽 전국 최고 국가유공자 예우 및 지원 시책 추진입니다.
우리 시 국가유공자 및 유족들에게 실질적인 도움 및 예우를 다하고자 보훈명예수당 참전유공자 특별 위로금 등을 지원하며 보훈 정신 확산을 위해 국가유공자의 날 노은 김규식 선생 추모제 현충일 기념식 등 6.25 전쟁 기념식을 실시하겠습니다.
727쪽 노숙인 보호 및 예방 사업입니다.
노숙인 발생 시 긴급복지 사례관리 등 지원 연계 시설 입소 등 필요한 조치를 적시에 취하고 노숙인 우려 지역인 공원 주변과 수택동 재개발 밀집 지역을 위주로 순찰을 강화하여 노숙인 예방과 보호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728쪽입니다.
민관 협력을 통한 시민의 복지 향상입니다.
민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다양한 복지서비스 제공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조직을 강화하여 지역문제 해결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으며 연차별 계획을 꼼꼼히 수립하여 내실 있는 사업추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729쪽 시민과 함께하는 사회복지관 운영 지원입니다.
지역주민에 대한 실질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운영 중인 구리시 종합사회복지관. 갈매 사회복지관 2개소에 대한 운영 지원 및 주기적인 점검으로 투명하고 내실 있게 운영하겠습니다.
730쪽입니다.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대상 범위 확대와 접근성 강화로 시민의 복지 체감도 제고를 위해 주민력 강화를 위한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동 공공서비스 플랫폼 기능 강화를 위해 각 동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 직무 교육을 실시하겠습니다.
731쪽 지역사회 서비스 투자사업 추진입니다.
이용자 특성과 수요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해 매년 70% 현장점검 및 이용자 모니터링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겠습니다.
732쪽 돌봄 서비스 제공을 통한 돌봄 사각지대 해소입니다.
청 중장년층을 비롯한 돌봄이 필요한 시민들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겠습니다.
733쪽 복지급여 신청자 통합 조사 및 자격관리입니다.
복지대상자 선정 조사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기하고 변동사항에 대해 적기 반영과 공정한 자격관리로 복지행정에 대한 신뢰도 제고 및 사회복지서비스 대상자의 안정적인 생활을 도모하겠습니다.
734쪽 신규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 역량 강화 직무 교육입니다.
신규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정기 직무 교육을 실시하여 전문성 및 역량 강화로 안정적인 조직 생활을 지원하고 주민복지 만족도를 제고하겠습니다.
735쪽 기본 생활 보장 맞춤형 복지급여 사업추진입니다.
저소득층의 기본적인 최저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맞춤형 복지급여 지원 주거 상황에 따른 주거 안정 지원 등을 통해 저소득층 가구의 경제적 부담 완화 및 안정된 생활 유지를 도모하겠습니다.
736쪽 의료급여 보호로 건강한 삶 지원입니다.
우리 시 저소득층 의료급여 수급자에 대하여 의료비를 지원하고 고위험군 장기 입원자 등에 대한 사례관리실시 등으로 건강한 삶 보장 및 의료급여 재정 안정화에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737쪽 근로 가능 저소득층 자활사업 추진입니다.
근로 능력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자립 지원을 위해 구리지역자활센터 자활근로사업단 자활기업 등의 운영을 지원하며 일하는 수급자의 탈수급 지원을 위해 자산 형성 통장사업을 추진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체계적인 자활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738쪽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입니다.
가구주 사망 실직 및 중한 질병 등 위기 상황 발생으로 생계가 어려운 저소득층 가구를 신속하게 지원하며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가구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심각한 위기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739쪽 희망복지재단 무한돌봄센터 운영입니다.
지역사회 내 취약계층 보호 체계를 구축하여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가진 위기가구를 발굴 지원하고 각 동 인적 안전망 운영과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하는 등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740쪽 나눔 문화 활성화 추진입니다.
나눔을 실천하는 기부자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기부자를 예우함으로써 기부문화를 정착시키고 기부금품은 지역 내 저소득층과 사회복지시설에 효율적으로 배분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741쪽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 WE GO UP 워크숍 추진입니다.
사회복지 업무량 증가와 난폭 민원 증가에 따른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의 사기진작과 역량 강화 시책으로 사회복지업무 담당 공무원 힐링 워크숍을 추진하겠습니다.
742쪽 고독사 없는 구리 마을 사업 추진입니다.
민관의 상호협력을 통한 위기가구 발굴 체계 구축과 인적 안전망을 활용하여 고독사 위험군 관리로 취약계층의 고독사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복지정책과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노인장애인복지과 주요 업무계획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노인장애인복지과는 김시명 과장과 4개 팀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먼저 공약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753쪽 노인 안심 요양시설 건립 추진 사업입니다.
적절한 부양을 받지 못하는 노인과 치매 노인을 위해 요양시설을 추가 확보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건축면적 1,361제곱미터 리모델링 면적 270제곱미터 총사업비는 105억 원이며 국도비 27억 8,600만 원을 지원받고 있습니다.
3차 추경이 완료됨에 따라 공사착공 준비 중이며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755쪽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 노인 시력 보정용 안경 지원 사업입니다.
사업 대상은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이며 연 1회 안경 비용 10만 원을 구리사랑카드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취약계층 어르신들에게 노안 안경비를 지원해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어 노인복지 증진을 도모하는 데 힘쓰겠습니다.
756쪽 노인 휴양 헬스케어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현재 보건소와 연계하여 갈매 건강생활지원센터 교문 건강증진센터에서 진행 중이며 2025년에는 프로그램 확대를 추진하여 샘터경로당 1층에 노인 전용 헬스 프로그램 이용 센터를 설치하여 운영하고자 합니다.
757쪽 홀몸 노인 공동 가구 시범 실시 사업입니다.
사회참여 등 관계망 형성이 필요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구리시 실정에 맞게 주간 운영형 카네이션 하우스 사업 연계 및 사업을 활성화하여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 운영 예정입니다.
카네이션 하우스 운영으로 어르신들의 공동체 기능 회복과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겠습니다.
758쪽 실버 문화센터 운영입니다.
실버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어르신의 자아실현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취미 여가생활을 지원함으로써 건강한 노년 문화 형성을 돕도록 하겠습니다.
759쪽 저소득 중증장애인 교통비 지원입니다.
장애로 인해 추가로 지출되는 교통비 부담이 증가됨에 따라 생계 의료 주거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 중증장애인에게 교통비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 경감 및 이동권 보호 증진과 사회활동 참여 확대를 지원하겠습니다.
다음은 역점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760쪽 장애인복지회관 건립입니다.
멀티 복합 기능을 갖춘 복지회관을 건립하여 장애인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자 추진 중인 사업으로 현재 공모를 추진 중이며 2024년 12월에 당선작 선정 및 설계 용역을 착수하여 2026년 12월까지 공사 준공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761쪽 어르신 대중 교통비 지원 사업입니다.
사업 대상은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대중 교통비 월 1만 원을 지원하여 어르신들의 이동권 보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 2024년 상반기에 조례를 개정하였고 하반기에 과업 심의와 대중 교통비 시스템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내에 구리시 어르신 대중 교통비가 지급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습니다.
762쪽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 지원입니다.
양주시를 포함한 경기 북부권 6개 시군이 참여하는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 사업」에 공동 참여하여 경기 북부 내 화장시설이 없어 원정 화장을 하는 불편을 최소화하고 구리시민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인 장례 환경을 제공하고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주요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763쪽 경로당 활성화 추진 사업입니다.
경로당은 현재 129개소 3,830명의 어르신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어르신들의 이용 편의를 위해 운영비 간식비 냉난방비와 양곡비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어르신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다양한 여가 복지 프로그램을 발굴 추진하겠습니다.
764쪽 노인 목욕비 등 다양한 노인복지서비스 제공입니다.
취약계층 어르신들에게 목욕비를 매월 1만 원씩 지원해 드리고 75세 어르신들에게 이·미용비를 지원해 드려 위생관리에 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도록 하겠습니다.
765쪽 취약 어르신 맞춤형 돌봄 서비스 강화입니다.
취약계층과 독거 어르신들을 위해 기초연금 지원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독거노인 응급안전안심 서비스 월동 난방비 및 건강보험료 지급 AI 케어서비스 등을 추진해 안심하고 노후 생활을 보내실 수 있도록 꼼꼼하게 지원하겠습니다.
766쪽 어르신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입니다.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하여 2025년에는 2024년 대비 138명을 증원하여 모두 3,172명을 대상으로 어르신 일자리를 지원할 예정이며 지속적인 일자리 발굴을 통해 어르신들의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해 가겠습니다.
767쪽 노인복지시설 장기요양기관 운영 지원입니다.
노인장기요양 및 재가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으로 노인 안심 요양을 보장하고 돌봄에 취약한 재가 노인을 위한 일상생활 지원 등 맞춤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768쪽 구리시 노인복지관 운영입니다.
구리시 노인복지관 운영으로 상담 건강생활 지원 실버교육 식당 운영 자원봉사자 양성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함으로써 구리시 60세 이상 어르신의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종합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769쪽 갈매동 D1 블록 경로당 건립 추진입니다.
현재 설계 용역 착수하여 관련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특별조정교부금 10억 3,000만 원을 확보하였으며 2025년 하반기 경로당 준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771쪽 장애인 생활 안정 및 사회참여 확대입니다.
저소득 장애인에게 장애인 연금 장애수당 등을 지급하여 생활 안정을 돕고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통해 장애인의 복지증진 및 사회통합 장애인 권익과 편의 증진을 도모하겠습니다.
772쪽 장애인 복지 시설 및 종사자 지원입니다.
장애인종합복지관 등 16개 장애인 복지시설 운영 지원을 통해 장애인의 지역사회 참여와 재활 자립 서비스를 제공하고 근무 중인 종사자에 대해 근무 여건 개선 및 처우 개선비 등의 지원으로 장애인들에게 안정적인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773쪽 장애인 직업재활 및 일자리 확대입니다.
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고용기회 확대를 위하여 장애인 근로복지센터 1개소와 보호작업장 2개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인 일자리 사업을 통해 장애인들의 근로 욕구 충족 및 사회참여 기회 제공 등 장애인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겠습니다.
774쪽 무장애 도시 조성 추진입니다.
장애인과 전문가로 구성된 편의시설 현장점검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인뿐만 아니라 노인 임산부 등 모든 시민이 이동에 제약을 받지 않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775쪽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입니다.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운영으로 발달장애인에게 생애주기에 맞는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내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발달 장애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노인장애인복지과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신동화 원덕재 국장님 노인장애인복지과까지 보고하셨습니다.
잠깐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의원 여러분 원활한 회의 진행을 위하여 잠시 정회하고자 합니다.
이의 없으시죠?
(『없습니다』 하는 의원 있음)
11시 10분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의장 신동화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시간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원덕재 복지문화국장께서는 계속해서 보고에 임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문화국장 원덕재 계속해서 가족복지과 소관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가족복지과는 전혜승 과장과 5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공약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792쪽 다문화가족 종합지원 추진입니다.
다문화가족과 결혼이민자에게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가족 종합지원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793쪽 영유아 구리케어센터 권역별 설치입니다.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갈매동 아이사랑 놀이터와 인창동 아이러브 맘카페의 기능을 확대하고 교문 수택 지구에 있는 구리시 영유아케어센터를 설치하여 권역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용자 설문조사 등을 통해 이용자 맞춤형 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겠습니다.
794쪽 구리시 세계를 품은 어린이집 특화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보육전문가 자문 및 관내 어린이집 원장 간담회 등을 통해 국제어린이집 특화 프로그램 기준안을 마련하여 25개소 어린이집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도에는 다양한 체험과 수준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확대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795쪽 권역별 공공어린이집 확대 이용 비용 획기적 절감입니다.
보육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2024년 9월까지 국공립 3개소 취약 보육시설 19개소를 확대하여 공약 완료하였고 2025년에는 취약 보육시설 확대 및 운영 지원을 지속하겠습니다.
796쪽 갈매동 어린이 체험장 설치입니다.
갈매 아이사랑 놀이터 내 어린이 체험장을 설치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갈매 커뮤니티센터 준공 시 확대 이전할 예정입니다.
797쪽 갈매동 장난감도서관 운영입니다.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놀잇감 제공과 부모의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한 장난감도서관을 갈매 아이사랑 놀이터 내에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갈매 커뮤니티센터 준공 시 확대 이전하겠습니다.
798쪽 학교 외 돌봄센터 1인 1특기 적성교육 지원입니다.
학교 외 돌봄 시설 다함께 돌봄센터 이용 아동의 개인별 적성과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23년 3월부터 다함께 돌봄센터의 이용료를 면제하고 수요도 높은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양질의 특기 적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프로그램 운영 컨설팅 및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이용 아동과 부모가 만족하는 방과 후 돌봄 서비스가 되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주요 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799쪽 가족의 안정성 강화 및 가족관계 증진입니다.
가족센터 위탁 운영으로 건강가정사업을 추진토록 하고 있으며 아이 돌봄 서비스 지원 공동육아 나눔터 운영 가족 프로그램 등을 추진하고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생활 안정과 복지증진을 위한 양육비 학습재료비 등을 지원하여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도모하겠습니다.
800쪽 양육 공백 해소를 위한 아이 돌봄 사업추진입니다.
생후 3개월 이상 영아부터 12세 이하 아동 가정에 아이 돌봄 서비스를 지원하여 복지증진 및 일 가정 양립을 통하여 가족구성원 삶의 질 향상과 양육 친화적인 사회 환경을 조성하여 양육 공백 아동 돌봄에 대한 사회적 공공성 책임을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802쪽 360도 언제나 돌봄 사업입니다.
아동의 안전하고 행복한 성장과 부모의 양육 부담 완화를 위해 시설형 긴급 돌봄 서비스와 방문형 긴급 돌봄 서비스를 제공해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구리시 조성을 위해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803쪽 1인 가구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입니다.
1인 가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해 1인 가구 병원 안심 동행 사업 중장년 수다 살롱 식생활 개선 다이닝 사업 건강 돌봄 프로그램 등을 추진하여 1인 가구 맞춤 융합 공감이라는 3대 원칙을 통해 분야별 불안을 해소하여 사회구성원으로 공존하며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804쪽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 사업입니다.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 사업을 추진하여 아빠 육아휴직을 장려하고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여 부모가 함께하는 자녀 양육 확산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805쪽. 모두가 행복한 양성평등 문화 정착입니다.
양성평등의 문화 확산을 위한 공모사업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를 추진하여 여성 정책 업무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적극적인 양성평등 업무를 추진하겠습니다.
성별영향평가와 공직자 성인지 역량 강화를 통하여 성인지 관점으로 정책을 추진토록 하고 인권보호 및 안전한 사회 환경 조성을 위하여 공직자 4대 폭력 예방교육과 가정폭력상담소 운영 및 시민대상 폭력 예방교육을 지원하겠습니다.
여성 안심 사회조성을 위하여 불법촬영 시민감시단 운영 여성 안심 무인택배 보관함 운영 구리시 1인 가구 안심 패키지 지원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807쪽 구리시 여성행복센터 운영입니다.
구리시 여성행복센터 시설물을 대관하여 공공자원의 원활한 활용과 개방으로 시민 편의를 증진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여성의 권익증진과 능력개발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창업체험실 행복 마켓 운영으로 여성창업을 지원하겠습니다.
811쪽 여성행복센터 수강생 작품 발표 및 전시회입니다.
여성행복센터 수강생 작품 발표 및 전시회를 개최하여 수강생들이 이룬 학업성과를 공유하여 여성행복센터에 대한 시민의 관심을 높이겠습니다.
812쪽 우리 아이 키우기 좋은 보육환경 조성입니다.
국공립어린이집 확충과 시립어린이집 환경개선으로 보육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인프라를 확충하고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겠습니다.
또한 구리시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기능을 확대하여 가족 지원과 어린이집 서비스 품질 향상을 지원하겠습니다.
814쪽 함께 돌보고 키우는 보육 서비스 추진입니다.
어린이집 환경 지원으로 아이가 행복한 안심 보육 실현과 야간 연장 시간제 어린이집 운영으로 부모가 행복한 맞춤형 보육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아울러 교사의 처우 및 근무환경 개선으로 어린이집 교사가 행복한 보육환경을 조성하도록 지원하겠습니다.
815쪽 안심 보육을 위한 찾아가는 어린이집 컨설팅입니다.
어린이집 보육 컨설팅 보조금 및 급식·위생 지도점검으로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겠습니다.
816쪽 아동의 희망 드림스타트 사업추진입니다.
취약계층 아동과 가족을 위한 보건복지 교육 분야의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의 공평한 출발 기회를 보장하고 건전한 성장 발달을 지원하겠습니다.
817쪽 아동 건전 육성을 위한 지역아동센터 지원입니다.
지역아동센터 지원을 통하여 아동에게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 제공 지역사회의 연계 등 종합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 건전 육성을 도모하겠습니다.
818쪽 결식아동 제로 급식 지원 사업추진입니다.
저소득 가정 등 결식 우려 아동들에게 급식을 제공하여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819쪽 아동의 건강한 성장환경 지원입니다.
아동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첫만남이용권 및 아동수당 지원 사업 그리고 다양한 요보호 아동 지원 사업을 통해 아동의 건강한 성장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보호자의 부재나 방임 또는 아동학대 등으로 보호가 필요한 아동들을 위해 공동생활가정 아동 보호 전문기관, 학대 피해 아동 쉼터 등 아동복지시설에 대해 정기적인 지도점검을 통해 시설 운영과 돌봄이 필요한 아동 보호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821쪽 아동학대 대응 및 아동 보호 체계 구축입니다.
아동학대 사건 발생 시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를 실시하고 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등 유관기관과 협조체계를 더욱 강화하여 피해 아동의 상황에 따라 분리 조치 및 보호 계획을 수립하여 학대 피해 아동 보호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823쪽 다함께 돌봄센터 운영 지원입니다.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는 양육 환경 변화에 따라 초등학생에 대한 양질의 돌봄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함께 돌봄센터 6개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시설 안전 및 운영사항 지도점검과 이용가정 만족도 조사 등으로 질 높은 돌봄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824쪽 거점 아동 돌봄센터 운영 지원입니다.
지역아동센터 다함께 돌봄센터 등 방과 후 아동 돌봄 기관 간 협력체계 강화를 위해 작년부터 다함께 돌봄센터 1호 갈매를 거점 아동 돌봄센터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거점 아동 돌봄센터가 초등 돌봄 기관 거점기능을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구리시 아동 돌봄 사업의 상향평준화와 운영의 내실화에 기여하여 아동 중심의 질 높은 돌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힘쓰겠습니다.
825쪽 아동 친화 도시 조성 추진입니다.
아동 친화적 가치를 실현하여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유니세프 아동 친화 도시 조성을 추진하겠습니다.
아동 친화 도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2023년 11월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2024년에는 관련 조례 개정 아동 권리 옴브즈 퍼슨을 구성하였으며 2025년에는 인증을 위해 필요한 제도 구축을 완료하여 2026년에는 아동 친화 도시로 유니세프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가족복지과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이어서 평생학습과 소관 주요 업무계획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평생학습과는 구자원 과장과 4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공약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842쪽 성장하는 평생 학습 도시 조성입니다.
평생교육법 제9조에 따라 2026년부터 2030년까지의 구리시 평생 학습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고 평생 학습 네트워크 구축과 평생 학습 기간 단체지원 평생 성과공유 등 성장하는 평생 학습 도시 조성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843쪽 생활권 중심 평생 학습 지원입니다.
평생학습관 갈매 평생학습센터 수택 평생학습센터 등 근거리 평생 학습 시설을 통하여 시민 수요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으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844쪽 진로 재설정 보강 교육입니다.
구리시민 아카데미 구리시민 역량 교육은 대학과 연계하여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 신중년 역량 강화 교육 직업 능력교육 등을 통해 구리시민이 재도약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진로 재설정 보강 교육을 실시하겠습니다.
845쪽 장애인 등 평생교육 소외계층 지원 사업입니다.
장애 치료 경제적 형편 등 교육과정 기회가 부족한 평생교육 소외계층인 장애인 경계선 지능인 비문해 시민을 대상으로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공모사업 성인 문해교육 경계선 지능인 맞춤형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모든 시민에게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겠습니다.
846쪽 소규모 학습모임 지속 지원입니다.
평생 학습 공동체의 기초가 되는 구리시민 5인 이상 소규모 학습모임과 학습동아리에 강사비를 지원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평생 학습을 실천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평생 학습 문화를 조성하겠습니다.
847쪽 평생 학습 디지털 및 홍보 기반 강화입니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평생 학습 콘텐츠를 상시 제공하기 위하여 경기도와 평생 학습 공유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구리시 평생 학습 추진 상황을 시민들께 신속하게 전달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홍보 채널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848쪽 학교 복지 지원을 통한 교육비 부담 완화입니다.
구리시는 학교 무상급식 무상교복 무상교육을 지원하고 체육복 비용과 대안 교육 간 교복비를 지원하여 교육 복지 실현을 통해 학부모 교육비 부담을 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리시민 장학회를 통해 관내 중 고교 취약계층 및 성적우수자 구리시 거주 대학생 및 예체능 계열 성적우수자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장학기금 추가 조성 및 장학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849쪽 함께하는 선진 교육도시 조성입니다.
경기도교육청 협력 사업으로 학교 노후 시설 개선 재난위험시설 보강 등을 추진하고 있고 구리시 자체 사업으로 사립유치원 지원 방과 후 원어민 영여프로그램 지원 학교시설 개방 운영비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교와 학부모가 함께하는 간담회를 통해 학교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구리 토평2 공공주택지구 내 특목고와 대학 유치를 추진하여 명문 교육도시 구리시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850쪽 초중고 입학준비금 지원입니다.
초중고 입학준비금 내년도 대상자는 4,523명으로 모든 가정의 교육비 부담을 경감하여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유치원 입학준비금 지원 사업을 추진 중으로 현재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 중에 있습니다.
입학준비금 지원을 통해 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우리 아이 키우기 가장 좋은 도시 조성에 기여하겠습니다.
851쪽 2025 구리 미래교육협력지구 운영으로 우리 시 맞춤형 교육과정을 지원하겠습니다.
구리시와 경기도교육청이 협력하여 지역 특색 맞춤형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업무협약 기간은 2023년 7월부터 2026년 2월까지이고 부속 협약은 매년 체결하고 있습니다.
구리 빛깔 있는 학교 우리 마을 생생 체험 등 14개 프로그램에 대한 학교 교육경비 지원 및 지역 사회로 배움 공간을 확장하는 구리 미래 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852쪽 방정환 미래교육센터 운영입니다.
방정환 미래교육센터는 구리시 공교육 컨트롤타워로서 방정환 어린이학교 청소년 진로 직업 멘토링 대입 변화 대응 맞춤형 입시지원 등 청소년들에게 미래 교육 진로 탐색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854쪽 구리시 청소년 진로박람회 개최입니다.
청소년 진로박람회를 개최하여 청소년들이 다양한 진로 직업 체험을 통해 자신의 적성을 발견하고 진학 정보를 습득하여 고입 대입을 사전에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습니다.
855쪽 청소년재단 운영 지원 및 역량 강화입니다.
청소년재단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운영비를 출연하고 재단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사업과 내규의 전면 개정 업무 매뉴얼 구축과 지도 감독을 강화하여 업무를 효율화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청소년 정책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청소년재단이 우리 시 청소년 사업의 중심기관으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856쪽 청소년시설 확충 및 환경개선입니다.
갈매역세권 지구 내 청소년시설 건립을 철저히 준비하겠으며 청소년을 위한 자유공간 휴 카페를 조성하고 청소년수련시설의 환경개선 사업을 통해 청소년의 시설 접근성을 높이고 이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857쪽 청소년 유해환경 차단 및 예방 활동 강화입니다.
우리시는 자율방범대 등 5개 단체가 청소년 유해환경 감시 및 보호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환경 조성을 위해 청소년 보호단체 연계사업과 학교폭력 예방 사업을 충실하게 추진하겠습니다.
858쪽 청소년 보호 및 자립 지원 강화입니다.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환경적 요인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남녀 청소년 쉼터 운영 여성 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사업 등 청소년 보호 및 자립 지원 사업을 추진하여 보호 체계를 강화하겠습니다.
859쪽 위기 청소년 대응 사업 내실화입니다.
청소년 수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으나 위기청소년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청소년 안전망 선도 사업을 통해 시가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와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위기 청소년에 대한 발굴과 연계 지원을 원활히 하고 새로운 유형의 위기 청소년 발생에 적극 대응토록 하겠습니다.
860쪽 청소년 참여 활동 지원을 통한 역량 강화입니다.
공주시 중국 진황도시 등 청소년이 참여하는 국내외 교류 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고 청소년참여위원회 운영위원회 등 청소년 자치활동과 창의 활동 문화 체험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겠습니다.
861쪽 갈매동 찾아가는 청소년수련관 활성화입니다.
청소년시설이 미비한 갈매동 청소년들을 위해 갈매 광장을 ‘청소년 문화의 거리’로 운영하고 네버마인드 부스 체험 축제와 청소년 버스킹공연 등 이동형 문화 체험 사업을 추진하여 갈매지역 청소년들의 문화 활동 기회를 지속 확대하겠습니다.
862쪽 구리시민 축구단 K4 리그 창단입니다.
지역 체육 발전과 축구 인재 육성을 위해 2025년 중으로 행정절차를 완료하고 구리시민 축구단을 창단할 수 있도록 시의회 및 축구협회와 적극 소통하겠습니다.
863쪽 생활체육시설 확충 및 조성입니다.
종합돔구장 건립은 구리 토평2지구 내 돔구장 건립에 필요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관부서에 돔구장 부지 검토 의견을 제출하였으며 향후 토평동 스마트 그린시티 내 돔구장이 건립될 수 있도록 관련 부서 및 기관과 긴밀히 협의하겠습니다.
교문 체육공원 확장 조성은 기존 교문 체육공원 2만 6,998제곱미터에서 4만 2,709제곱미터로 확장하여 조성하는 사업으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지난 8월에 완료한 바 있습니다.
내년에 실시설계 용역을 착수하여 2026년까지 도시계획시설 결정 등 행정절차 이행하고 토지 보상 및 공원 조성을 단계별로 추진하겠습니다.
인창동 국군 구리병원 체육시설 개방은 국군 구리병원 국방부에서 내년에 축구장 조성을 완료하면 구리시민에게 개방하도록 하겠습니다.
실내체육관 풋살장 체육시설 시민 개방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864쪽 왕숙 체육공원 실내 테니스장 조성입니다.
2025년도에 실시설계 용역 예산을 수립하고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공원 조성계획 변경 및 실시계획인가 등을 포함한 설계 용역을 완료하여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겠습니다.
865쪽 시민 생활 체육 활성화 지원입니다.
2025년 3월부터 시장기 협회장기 대회 등 생활체육 대회 개최 및 참가 지원을 통해 지역 생활체육 활성화에 기여하겠습니다.
현재 36개 종목 42개 프로그램의 생활체육 교실을 운영 중이며 수요가 많은 신규 운동 교실을 추가해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44개 초등 스포츠클럽을 운영해 아이들의 체육 참여 기회를 넓히고 건강한 취미생활을 지원하겠습니다.
866쪽 시민운동장 인조 잔디 축구장 조성입니다.
금년 10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추진하여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특별교부세 특별조정금 등 외부 재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867쪽 갈매 실내 배드민턴장 건립 사업입니다.
협동공원 내 실내 배드민턴장 9면과 주차장 등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난 8월 건축기획 용역 최종 보고회를 완료하였으며 향후 공유재산 관리계획 심의 투자심사 등 행정절차 등을 이행하고 위탁개발 직영 등 사업방식을 검토 후 신속하게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868쪽 직장 운동경기부 및 엘리트 체육육성입니다.
카누부 리틀야구단 리틀축구단 태권도 시범단이 활성화 되도록 운영하겠습니다.
869쪽 효율적인 공공 체육시설 관리대행입니다.
멀티스포츠센터와 구리시체육관 등 5개소 공공 체육시설에 대해 구리 도시공사에 관리 대행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겠습니다.
870쪽 구리 왕숙 체육공원 등 체육시설 민간 위탁 운영입니다.
구리 왕숙 체육공원 등 4개소를 구리시체육회에 민간 위탁하여 종목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관리로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겠습니다.
871쪽 시민이 즐겨 찾는 생활체육시설 유지관리입니다.
인창동 철도부지 체육공원 등 11개소의 생활체육시설과 구리시 관내 16개소에 설치된 야외운동기구의 유지관리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872쪽 구리시 체육인 기회 소득 지급 사업입니다.
「경기도 체육인 기회 소득」 지침에 따라 대한체육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등록된 구리시에 거주하는 1인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체육인에게 기회 소득 연 2회 상하반기 각각 75만 원씩 모두 15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올해는 총 112명에게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상 평생학습과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은 문화예술과 주요 업무계획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문화예술과는 한진숙 과장과 4개 팀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먼저 공약사업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886쪽 구리시립미술관 건립 추진입니다.
시립미술관 조성을 통해 지역문화 발전 및 시민의 균등한 문화 향유권을 보장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갈매동 산마루공원에 대지면적 3만 3,070제곱미터 연 면적 4,500제곱미터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건립할 예정입니다.
2023년 7월 문체부에 공립미술관 설립 타당성 사전평가를 신청하였으나 11월 “부적정” 결과를 받았습니다.
이에 2024년 10월 미술관 건립 사업을 전담할 미술 학예사를 임용하였고 내년 상반기 연구용역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887쪽 동구릉 힐링 예술제 개최입니다.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에서 유적 경관 역사 해설 공연예술 체험 등 복합형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문화 향유 확대와 특화된 시민 힐링 체험이 가능한 동구릉 힐링 예술제를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888쪽 시민 개인별 문화프로그램 지원 사업 추진입니다.
구리시민의 개개인이 문화 향유를 위하여 구리문화재단의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지원 및 구리시 음악 창작소 인프라 제공으로 개인별 눈높이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문화예술 자아실현의 토대를 만들어 구리시민이 원하는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890쪽 구리시 빛 축제 추진입니다.
돌다리 등 주요 시가지 내 빛을 테마로 시민이 즐길 수 있는 축제를 개최하여 구리시 상권 활성화 및 야간관광 활성화에 기여하여 구리시의 겨울철 대표 축제로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전문가 자문 등 보다 내실 있고 성공적인 축제를 개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891쪽 청소년 문화 프로그램 꿈의 예술학교 운영입니다.
청소년의 창의력 제고와 문화예술 향유 기회 확산을 위해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여름방학에는 특강도 운영하여 청소년들의 문화예술 접근성을 향상시켜 예술 경험 확장과 창의력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꿈의 예술학교를 추진하겠습니다.
892쪽 시립예술단 활성화 추진입니다.
시립예술단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추진하여 2025년도에도 시립예술단이 시민과 함께하는 예술단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주요 사업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893쪽 품격 있는 문화유산 활용 힐링 구리시 업무 추진입니다.
문화유산을 활용한 망우 힐링 산책 고구려의 소리 아차산 보루 산책 프로그램과 무형유산 전수교육관을 활용한 도당 공감 행사를 통해 문화유산의 사회적 효용가치 증대에 힘쓰겠습니다.
894쪽 소중한 구리 문화유산 보존 추진입니다.
국고보조사업으로 아차산 보루군 경미한 보수 등 보존관리 및 무형유산 전수교육관 시설 개보수를 위한 기본 및 실시설계를 추진하는 등 지정 문화유산 및 무형유산 보존에 힘쓰겠습니다.
895쪽 구리문화원과 함께하는 전통문화 계승 추진입니다.
구리문화원을 지역문화 중심 공간으로 육성하고자 문화학교 강좌 운영 확대 문화원 사업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한 다양한 문화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896쪽 건전한 문화콘텐츠 환경 조성입니다.
신속하고 정확한 문화콘텐츠 산업 허가 등록 민원 처리와 정기적인 관내 영화상영관 안전 점검 및 게임제공업소 지도점검 등을 통해 시민에게 건전한 문화콘텐츠가 제공되고 다양한 문화생활이 향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897쪽 시민 주도의 문화예술 도시 구축 추진입니다.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문화진흥 사업을 운영하여 시민들이 일상에서 문화예술을 느낄 수 있도록 예술인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다양한 계층의 시민을 위한 차별화된 문화예술프로그램 추진을 위하여 공연 전시 등의 사업과 아동 청소년 문화예술 브랜드 사업으로 ‘꿈의 오케스트라’ 및 ‘꿈의 무용단’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899쪽 시립예술단 활성화로 문화예술 접근성 향상입니다.
현재 시립예술단은 예술단별 연 2회 정기연주회와 시 주관 주요 행사 및 축제 공연 시민들이 소규모로 음악회를 즐길 수 있는 찾아가는 음악회 등의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구리시민 누구나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시립예술단을 운영해 나가겠습니다.
다음은 901쪽 활기찬 축제 발전하는 구리시 추진입니다.
구리시 대표 축제인 유채꽃 코스모스 축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여 구리시민의 문화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대외적으로 구리시를 널리 알려 구리시의 브랜드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청소년 춤 페스티벌 드론 쇼와 같은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명실상부한 수도권 대표 축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더욱 추진하겠습니다.
902쪽 구리 관광 콘텐츠 사업추진입니다.
구리시 관광 활성화 방안에 따른 연차별 계획에 따라 아천동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지정 와구리 캐릭터 관광 상품 개발 등 관련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아울러 상시 시행 중인 문화관광해설사 해설프로그램 및 오감 만족 문화관광 해설프로그램 등에도 역점을 기울이겠습니다.
904쪽 고구려 대장간 마을 박물관 운영입니다.
2023년 정밀안전점검 용역 결과 야외 전시장 시설물의 노후도가 심각하여 현재까지 야외 시설물의 출입이 전면 제한되고 있습니다.
이에 2024년 3월부터 시의원 및 전문가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 고구려 대장간 마을 협의체를 구성하여 올해 3차례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2025년 중으로 운영 관련 타당성 조사 용역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906쪽 구리 토평가족캠핑장 운영입니다.
구리 토평가족캠핑장은 현재 구리 도시공사에서 관리대행 중에 있으며 기간은 2026년 6월 30일까지입니다.
앞으로도 시설 운영 및 관리에 더욱 만전을 기하고 이용객 편의를 위한 각종 행사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907쪽 종교계와 함께하는 지역문화 활성화 추진입니다.
종교 단체와 협력하여 정기적인 교류와 주요 행사 참여를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2025년 부처님 오신 날과 크리스마스트리 설치 점등식 등 종교문화 행사를 추진하겠습니다.
종교계와 함께 시정 사업 협력을 강화해 시민들의 화합을 도모하겠습니다.
이상 복지문화국 소관 2025년 주요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장 신동화 원덕재 국장님 상세하고 성실하게 보고해 주서서 감사합니다.
수고했습니다.
의원 여러분 원활한 업무보고를 위해서 오전 중에 환경관리사업소 소관 환경과와 자원순환과 업무까지 보고받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환경관리사업소 소관사항에 대하여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조명아 환경관리사업소장께서는 보고에 임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관리사업소장 조명아 안녕하십니까?
환경관리사업소장 조명아입니다.
지금부터 환경관리사업소 소관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환경과 자원순환과 공원녹지과 수도과 하수과 직제순으로 드리며 각 부서별 목표 전략 기본현황 2024년도 주요성과는 양해해 주신다면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그러면 2025년 주요 업무계획에 대해서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환경과 주요 업무계획입니다.
1003페이지입니다.
환경과는 김대범 과장님을 중심으로 탄소중립 실현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 조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조직은 4개 팀 직원은 16명입니다.
1017쪽입니다.
그린모빌리티 환경친화적 차량 보급 확대입니다.
2024년도에는 10월 말 기준으로 관내 친환경 차량은 전기자동차 255대 전기 이륜차 18대 수소자동차 4대를 보급하였습니다.
내년도에는 사업 예산 67억 원을 확보하여 전기자동차 625대 전기 이륜차 82대 등을 점차적으로 보급하겠습니다.
1018쪽입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환경교육 실천 도시 조성입니다.
올해는 10개의 환경동아리 활동 지원 사업과 15회의 환경 리더 마을활동가 기본 및 고급과정 유치원 교사 ESD 환경교육 연수 등을 진행하였습니다.
내년도에는 다양한 환경교육 기반 조성 및 유아에서 일반시민까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환경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다음은 1020쪽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도시 조성입니다.
야생동물 구조 활동과 한강수계 쓰레기 정화 활동 생태계 교란 식물 제거 사업 등 2025년에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자연 친화적인 생태도시 조성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1021쪽입니다.
지역 환경교육센터 활성화 운영입니다.
구리시 지역 환경교육센터로 지정되어 있는 장자호수생태체험관에서는 환경교육 체험프로그램을 상시운영하고 있습니다.
내년도에도 해설이 있는 상설생태환경전시관 운영과 다양한 환경교육프로그램 제공으로 시민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지역 환경교육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1022쪽 시민과 함께하는 환경의 날 운영입니다.
2025년 6월 5일은 제30회 환경의 날입니다.
이를 기념하여 환경교육 한마당을 추진하여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환경에 대한 의식을 개선하고 실천으로 옮겨갈 수 있는 계기가 되는 환경의 달이 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1023쪽 2050 탄소중립 기후 위기 대응관리입니다.
최근 전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기후 위기의 심각한 영향을 예방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 기후 위기 대응 대책 강화 탄소중립 사회로의 신속한 정책 수립과 이행 정책을 현재 추진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기본법에 의해 법정계획인 기후 위기 적응 대책을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잠재적 피해와 위험에 대한 사전 예방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1024쪽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천입니다.
우리 시에서는 올해 폐기물 분야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시설의 관리 감독으로 잔여 배출권 5,469톤을 판매하여 4,970만 원의 재정수입을 얻었습니다.
아울러 공공부문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38% 감축과 민간 부문에서도 탄소중립 포인트 에너지 분야 268세대가 가입했고 자동차 분야 331대가 참여한 실적이 있습니다.
내년도에도 폐기물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공공분야 부분 온실가스 목표 관리제 등 온실가스 배출권 관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1025쪽 온실가스 감축 시민 참여 차량 5부제 캠페인 실시입니다.
화석연료 차량 운행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기후위기 상황에 직면한 사항에서 저희 시는 올해 8월 별내선 개통으로 대중교통 이용률 증대로 온실가스를 감축시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이에 발맞춰 우리 시에서는 2050 탄소중립 실천 행동 바로 지금 나부터 차량 5부제 캠페인을 자율 참여를 추진하여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중립 문화 조성에 기여하겠습니다.
1026쪽 가정용 태양광 발전소 보급입니다.
태양광 주택 보급 사업은 꾸준히 추진되고 있으며 내년에도 주민들의 전기세 절감을 위한 1가구 1 발전소 운동 확산을 위한 주택용 태양광 보급을 적극 추진하겠습니다.
1027쪽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및 과태료 부과 시스템 운영입니다.
최근 발생한 전기차 화재에 의해 충전시설에 대한 법률제정 등 지원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5년에도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의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 점검 화재예방 활동과 적절한 지원으로 시민들이 안전하게 전기 자동차 및 충전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 인프라 구축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1028쪽 기후 위기 취약계층 지원 사업입니다.
2025년 환경부 공모에 선정되어 5억 2,000만 원의 사업비가 확보되어 한강 시민공원의 4개소에 폭염 쉼터 조성을 통해 취약계층이 기후 위기에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1029쪽 생활악취 저감 시설 설치 지원 사업추진입니다.
이 사업은 우리 시 특색사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소규모 음식점 생활 악취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생활악취 방지시설을 지원하는 사항으로 환경부의 2025년 음식점 미세먼지 악취 방지시설 설치 지원 국고보조사업으로 추진하겠습니다.
1030쪽 환경과 개발의 균형 관리를 위한 수질오염 총량제입니다.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시행하는 2단계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에 따른 사업으로 대상 지역인 왕숙천과 한강 유역 목표 수질관리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1031쪽 대규모 환경오염 사고 신속 대응입니다.
환경오염물질의 유출로 인해서 대규모 환경오염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행동 매뉴얼 정비 및 방제장비 확보 등 대응체계를 확실히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1033쪽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수질오염원 관리입니다.
현재 수질오염 배출사업장을 점검 및 관리하는 사항으로 관내 59개소 배출사업장 관리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1034쪽 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관리입니다.
도로변 등에서 초기 우수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사전 제거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을 관리하는 사항입니다.
현재 시설은 4곳으로 갈매동과 사노동 내동2천 왕숙천 수변공원 백교천 하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체계적인 시설관리로 하천 수질관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036쪽 시민과 자연이 함께하는 생태습지 관리입니다.
현재 생태습지는 아천 왕숙천 생태습지 2곳으로 초화류 식재 수질검사 철저 등으로 시민들이 이용에 불편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겠습니다.
1037쪽 대기환경 오염원 관리로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입니다.
관내 대기오염 배출업소 46개소와 소규모사업장 6개소에 대하여 공사 현장 비산먼지 소음관리 석면 철거 및 지원 등으로 인한 생활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겠습니다.
1039쪽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을 위한 공중화장실 관리입니다.
우리 시 관내 공중화장실은 현재 공공시설 83개소와 민간 시설 28개소로 총 111개소가 관리되고 있습니다.
개방화장실 물품 지원 및 수급 계획 수립 등으로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겠습니다.
1040쪽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 수립 및 추진입니다.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6대 분야 20개 실행 과제를 수립하여 적극 실천함으로써 지속적인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통해 쾌적한 대기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1041쪽 미세먼지 없는 맑고 푸른 대기환경 조성 추진입니다.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 사업 노후 경유차 운행 제한 저녹스 보일러 지원 사업 등으로 쾌적한 계절 관리제 운영으로 대기환경 조성에 노력하겠습니다.
1043쪽 미세먼지 저감을 통한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입니다.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따른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긴급재난문자 발송 등 발령 사항을 전파하고 단계별 비상근무 체계 가동 공사장 가동시간 조정 등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신속히 추진하겠습니다.
1044쪽입니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한 실내 공기 질 관리입니다.
취약계층 이용 시설인 지역아동센터 경로당 등 165개소에 실내 공기 질 측정 및 컨설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취약계층 이용 시설 실내 공기 질 개선을 위해 지속 추진하겠습니다.
1.045쪽입니다.
IOT 기반 취약계층 이용 시설 실내 공기 질 개선입니다.
경기 환경에너지진흥원 공모사업으로 선정되어 관내 4개소 어린이집 및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실시간 실내·외 공기 질 분석 및 스마트 공기 청정시스템을 유지하는 사항입니다.
사업을 추진으로 환경 취약계층 이용 시설을 우선 보호하고 개선하도록 하겠습니다.
1046쪽입니다.
환경 취약계층 미세먼지 저감 사업입니다.
환경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고 있는 경로당 복지관 어린이집에 올해까지 총 217개소의 미세먼지 차단 방진망을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내년에도 미설치 시설 30개소 등 단계적으로 환경 취약계층의 실내 공기 질을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환경과 주요 업무보고를 마치고 다음은 자원순환과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자원순환과는 이윤주 과장을 중심으로 시민의 행복을 위한 깨끗한 도시 만들기를 목표로 설정하고 조직은 3개 팀 직원 현원은 16명입니다.
1058쪽입니다.
자원순환 교육센터 운영입니다.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가치 공유 자원절약 실천 등의 시민의식 제고를 위해 설치된 자원순환 교육센터를 알차고 원활히 운영하겠습니다.
자원순환 해설사 양성 과정 및 찾아가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이 자원순환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함께 실천하는 문화를 조성하겠습니다.
또한 공동주택 내 재활용 분리배출 현장에 방문하여 재활용 분리배출 활성화를 위해 적극 홍보 계도하고 알뜰벼룩시장을 운영하는 등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도시 기반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059쪽입니다.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 구역 개편에 따른 안정적 수거 정착입니다.
2025년은 생활폐기물 수거 구역을 재조정하고 공개경쟁입찰 방식을 통해서 수집 운반 업체를 선정하고자 합니다.
총 27대의 청소 차량으로 71명의 인력이 투입될 예정이며 101억 원의 예산이 확보 예정되어 있습니다.
주민 불편이 없도록 구리시의 생활폐기물 수거 처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1060쪽입니다.
구리 자원회수시설 대보수 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노후화된 구리 자원회수시설 소각로를 신설에 준하는 방향으로 대보수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에서 구리 자원회수시설 대보수에 대한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완료하였습니다.
기본계획 보완 및 입찰안내서 작성 용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2월에 국비가 확정되면 중앙지방재정투자심사 등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1061쪽입니다.
재활용품 중간 처리장 이전 및 재활용 선별장 현대화 사업입니다.
현재 노후화된 재활용품 선별장과 재활용품 중간 처리장을 현대화 시설로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환경부에 국비를 신청하였으며 경기도 지방재정투자심사 중에 있습니다.
12월에 국비가 확정되면 GB 관리계획 변경 등 나머지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2028년을 준공 목표로 최선을 다해 진행하겠습니다.
1062쪽 시민과 함께하는 깨끗한 구리시 만들기입니다.
내년 3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첫째 주 금요일 시민과 함께하는 ‘클린 구리의 날’을 지속 운영하여 동별 취약 구역에 대한 대청소와 마을환경 정비를 추진하겠습니다.
현재 156개 단체에서 2279명이 참여하고 있는 행복홀씨 입양사업도 지속 추진하고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 및 내 집 앞 내 점포 앞 내가 쓸기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 시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겠습니다.
1063쪽 안정적 지원 불편 없는 생활폐기물 처리입니다.
쓰레기 종량제봉투 제작 공급과 판매소를 적정히 관리하고 대형폐기물 배출시스템을 다양화하여 시민 편리성을 증진하겠습니다.
또한 자원회수시설의 정기 점검 등으로 반입 용량이 초과되는 물량은 생활폐기물의 경우는 수도권매립지로 운송하여 처리하며 대형폐기물의 경우 약 17억 원의 예산으로 민간처리업체를 공개입찰로 선정하여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065쪽 상습 무단투기지역 집중관리 사업입니다.
깨끗한 쓰레기 처리 감시원을 18명을 각 동별로 배치하여 무단투기 순찰 및 감시를 강화하겠습니다.
상습 무단투기 발생지역을 집중 단속하고 이동식 카메라도 운영하겠습니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를 유도하기 위해서 신고 포상금 제도도 적극 활용하겠습니다.
1066쪽 깨끗한 도시 쾌적한 가로환경 조성입니다.
현재 우리 시 환경미화원은 52명이 3개 분야로 편성하여 근무하고 있습니다.
깨끗한 도시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환경미화원 담당구역을 정기적으로 순환 배치하고 고충해소 및 민원을 예방하겠습니다.
또한 살수차 진공차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나 폭염 발생 시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겠습니다.
1067쪽입니다.
폐기물 배출 업소 및 처리 업체를 철저히 관리하겠습니다.
폐기물처리업체 및 대규모 건축물 해체 공사장의 위법 사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시·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겠습니다.
아울러 폐기물 처리 실태를 수시 모니터링하여 폐기물처리의 투명성을 확보토록 하겠습니다.
1068쪽입니다.
구리 자원회수시설의 안정적인 운영입니다.
구리 자원회수시설은 소각시설 1일 100톤 2기로 현재 민간 위탁 하여 연간 예산 105억 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내년 정기보수와 최적의 소각로 운전으로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고 굴뚝자동측정기기 운영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을 감시하여 신뢰하는 생활폐기물 처리의 모범도시 이미지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특히 수탁사가 지난 20여 년간 삼중나비스(주)에서 지난 9월 11일부터 환경에너지솔루션으로 변경되어 새로운 업체에서 운영을 맡고 있습니다.
생활폐기물 처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 감독에 철저를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2025년도는 민간 위탁이 종료되는 해로 공개모집을 통해서 새로운 수탁사를 선정하여 쓰레기 처리가 문제가 없도록 진행할 계획입니다.
1069쪽입니다.
구리 주민편익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입니다.
구리 자원회수시설 내 주민편익시설은 축구장 수영장을 비롯하여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구리시체육회에서 현재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시 예산이 18억 5,400만 원을 보조하고 있습니다.
내년부터는 조례 개정에 따라서 변경된 요금 체계가 적용이 되며 또한 연 2회 만족도 조사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시설을 운영하겠습니다.
아울러 2025년 12월에 민간 위탁이 종료되며 공개모집 또는 관리대행 등 방향을 재설정하고 새로운 수탁사를 선정할 계획입니다.
1070쪽 자원재활용 시설관리 및 자원순환 시책 추진입니다.
재활용 선별장과 재활용품 중간처리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재활용폐기물을 적정하게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굿윌스토어와 연계한 나눠드림 캠페인과 재활용품 수거장려금 지원 등을 통해 자원재활용 활성화를 위해서 노력하겠습니다.
사물인터넷 기반 무인 분리수거함을 신규 설치하고 배출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재활용 분리배출을 활성화하겠습니다.
1072쪽입니다.
음식물류폐기물 RFID개별계량기기 신규·교체설치입니다.
개별계량기기 미설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신규 설치하여 RFID 종량제 시스템 정착을 통해 음식물류폐기물 배출량만큼 수수료를 납부하도록 하고 배출량을 절감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2012년~2013년까지 개별개량기기가 설치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노후화된 기기를 교체하여 주민편익을 도모하도록 하겠습니다.
1073쪽입니다.
공동주택 음식물류폐기물 감량 경진대회 추진입니다.
RFID기반 종량제 방식을 이용 중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음식물류폐기물 감량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성과가 우수한 공동주택을 선발 수수료 감면 등 인센티브를 지원하고자 합니다.
시민들이 음식물류폐기물 배출량 감량에 적극 참여토록 하여 폐기물 감량 문화가 확산되도록 지원하겠습니다.
1074쪽 음식물류폐기물 수거 용기 세척 사업 확대 추진입니다.
여름철에 단독 다세대주택가에서 음식물류폐기물 배출 후 음식물류폐기물 수거 용기 관리가 미흡한 실정입니다.
오염된 음식물류폐기물 수거 용기 세척 소독을 통해서 악취를 감소하고 해충 발생을 방지하여 이용자의 편의 제공과 시민들의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토록 하겠습니다.
1075쪽입니다.
음식물류폐기물 안정적 처리 기반 구축입니다.
현재 구리시 음식물류폐기물 전량을 처리하고 있는 강동구와 항구적이며 더 협력적인 구속력 있는 협약체결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음식물 처리 방안을 마련하겠습니다.
또한 강동구 처리시설의 고장 점검 등 유사시를 대비하여 민간 처리시설을 통한 처리경로를 미리 확보하여 폐기물처리 대란과 시민 불편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합니다.
이상으로 자원순환과 주요 업무계획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의장 신동화 네 조명아 소장님 수고하셨습니다.
공원녹지과 소관 업무부터는 오후에 계속해서 보고받도록 하겠습니다.
소장님 잠시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의원 여러분! 지금 시간이 12시 06분입니다.
중식을 위하여 정회하고자 합니다.
이의가 있으십니까?
(『없습니다』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시므로 14시까지 정회를 선포합니다.
○의장 신동화 의석을 정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시간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오전에 이어서 환경관리사업소 업무보고를 계속 받도록 하겠습니다.
조명아 환경관리사업소장께서는 계속해서 보고에 임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관리사업소장 조명아 계속해서 공원녹지과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080쪽입니다.
공원녹지과는 김명성 과장을 중심으로 아름다운 녹색 경관 창출과 도시 가치 제고를 목표로 설정하고 조직은 4개 팀 직원은 현원 22명입니다.
1095쪽입니다.
이문안호수공원 시설 확충 및 편의시설 설치입니다.
이문안호수공원에 수변 데크와 조경시설 휴게시설 화장실 등 공원 이용객 편의를 위한 시설 확충공사입니다.
2025년까지 마무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1096쪽 장자호수생태공원 수변 공연장 조성 및 수질개선 추진입니다.
본 사업은 장자호수생태공원 4단계 사업으로 추진하였으나 지난 신규 택지 지구로 토평2 공공주택지구가 발표됨에 따라서 본 사업과 수질개선 사업은 토평2 공공주택지구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할 계획입니다.
토평2지구 마스터플랜 작성 및 UCP 회의 등 각종 협의 시 공원면적 확장 수변 공연장 등 시설 조성 기존 시설 개보수 등 공원 조성 관련 사항과 수면 폭 확대 호수 바닥 준설 유입 수량 증가, 우 배수관 우회 등 수질개선 사항을 지속적으로 제시하여 사업추진에 적극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1097쪽 어린이공원 전면 개편 사업입니다.
2024년까지 노후 어린이공원 16개소 중 13개 정비를 완료하였습니다.
내년도에는 3개소는 도비 보조와 특별교부세를 확보하여 정비하겠습니다.
또한 어린이참여단 활동 주민 설문조사 등을 통해서 시민의 참여와 의견을 반영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권 휴식 공간으로 조성하겠습니다.
1098쪽입니다.
아차산 시루봉 무장애나눔길 조성 사업입니다.
2025년 산림청 녹색자금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복권 기금 16억 원을 확보하였습니다.
아차산 기부채납지에다가 아차산 시루봉 무장애나눔길을 조성하고 치유의 숲 전망대 유아 숲 놀이터 자연휴양림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합해 종합적이고 풍요로운 산림 혜택을 보행 약자를 포함한 시민들에게 제공하고자 합니다.
1099쪽 사계절 꽃으로 물드는 도시 가꾸기입니다.
시립양묘장에서 연간 43만 본의 초화류를 직접 생산하여 도시 곳곳에 계절 꽃을 식재하여 꽃으로 물드는 도시를 조성하겠습니다.
1101쪽입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정원 조성 및 문화 확산입니다.
우리시는 정원 73개소를 조성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도비 지원 사업으로 갈매역 지하보도 인근 공공공지에 공공형 마을 정원을 조성하겠으며 시민 정원사를 활용하여 정원 조성 및 유지관리 정원 관련 시민교육프로그램 운영 작가정원 학교 숲 등에서 해설을 통해 시민들에게 정원문화를 확산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1104쪽입니다.
도심 속 쾌적한 녹지관리 및 맨발 산책로 조성입니다.
현재 관리 중인 녹지대는 총 62개소이며 내년에는 도비 보조 사업으로 갈매동 경춘북로 녹지 1㎞ 구간에 황토포장 세족 시설 등 맨발 산책로 조성과 인창동 원일가대라곡 아파트 앞 녹지에 쌈지공원 조성 또한 2024년 1차 정례회 시정질문에 따른 조치계획으로 아차산로 완충녹지에 보도블록 교체 배수로 설치 등 녹지대를 정비하여 시민들에게 쾌적한 녹지환경을 제공하겠습니다.
1106쪽 도심 속 쉼이 있는 공원 조성 관리입니다.
관내 도시공원 시설은 70개소를 운영 관리하고 있습니다.
갈매 인창 교문수택 3개 권역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습니다.
토평공원 갈매중앙공원 등 4개소와 어린이 물놀이장 바닥분수 놀이형 수경시설은 6월부터 8월까지 운영하겠습니다.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 사업으로 갈매동 탑골 안말 산마루 공원에 쿨링포그시설과 음수대를 설치하여 무더위에 시원하게 쉴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겠습니다.
또한 장자호수생태공원 주차장 설치를 위한 생태체험관 주변 공원 조성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현재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관 협의 중에 있으며 2026년까지 조성 완료할 계획입니다.
1108쪽입니다.
섬말공원 산책 경관 개선 사업입니다.
갈매 스포츠센터 뒤편 섬말공원을 대상으로 생활환경 숲 조성 사업의 도비를 확보하였으며 수목식재 휴게 공간 조성 및 갈매스포츠센터 접근 보행로 확보 등을 통해 갈매천 주변 경관 개선과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1109쪽입니다.
수변공원 쾌적한 휴식 공간 조성 및 즐길 거리 제공입니다.
한강시민공원에 쿨링포그 및 그늘목 등을 추가 설치하여 무더위에 지친 시민들에게 시원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물놀이장 주변 환경을 개선하여 이용객 편의를 증진하는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한강시민공원 내 구리대교 하부에 신설되는 물놀이장과 왕숙천둔치공원 물놀이장 운영을 통해 여름철 무더위 쉼터를 제공하고 즐길 거리를 확대함으로써 공원 이용 만족도를 증대하겠습니다.
1111쪽 사계절 편안한 수변공원 관리입니다.
수변공원 내 맨발 산책로 등 편의시설을 조성하고 보도블록 교체 등 노후 시설물을 개설하겠으며 장미원 정비 병해충 방제 등 수목 관리와 초화류 단지 조성으로 쾌적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공원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습니다.
1112쪽입니다.
자연재난으로부터의 산림환경 보호입니다.
재난으로부터 산림환경 보호를 위하여 산불방지대책 상황실 운영 직원교육 모의훈련 등을 통한 산불대비 태세를 강화하고 여름 우기철에 지역 산사태 대책상황실 운영 산사태 취약지역 수시예찰 등을 통하여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115쪽입니다.
건강한 산림자원 육성 및 가로 숲 관리입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나무 심기 행사를 실시하겠으며 관내 대상지에 조림 사업 공익 가꾸기 숲가꾸기 사업을 실시하여 건강한 산림자원 육성을 위하여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관내 가로수 띠녹지 중앙분리대 일원 유지관리 전정 제초 관수 병해충 방제 보식 등 지속적인 점검 및 정비를 통해 가로 숲 경관 조성 및 보행환경 개선에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1117쪽 도심 속 자연 따라 걷는 힐링 명소입니다.
구리 둘레길과 등산로 정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시민들이 안전하게 산책할 수 있도록 노후화된 시설물 등을 교체 및 정비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차산 일대와 동구릉 주변 등산로에 신규 숲길 지정 및 조성을 위한 행정절차를 추진하고 아차산 내 경관이 좋은 구역 내에 전망대를 설치하고 AI 망원경을 설치하여 시민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산림복지 서비스를 향상시키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1118쪽 유아숲체험원 교육프로그램 운영입니다.
갈매동 구릉산자락길 내 조성된 유아숲체험원에서 산림복지전문업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유아들이 숲에서 뛰놀고 자연과 교감하며 숲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공원녹지과 업무보고를 마치고 이어서 수도과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122쪽입니다.
수도과는 이광석 과장님을 중심으로 맑고 깨끗한 “안심 수돗물” 공급으로 더 행복한 구리시를 목표로 설정하고 조직은 4개 팀 직원은 현원은 27명입니다.
1131쪽 경영 효율화를 통한 공기업 경쟁력 강화입니다.
내실 있는 공기업 예산 편성 및 재정 상황 분석 정확한 요금 부과 및 징수 체계적인 체납관리를 통해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고 투명하고 체계적인 재정 운영 및 회계업무 추진으로 공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겠습니다.
1132쪽입니다.
고객 중심 수도 행정으로 시민 만족도 제고입니다.
다양한 납부제도 운영 및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유공자 및 취약계층 생계지원을 위한 요금감면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1133쪽 토평정수장 이전 추진입니다.
「구리토평2 공공 주택지구」 스마트 그린시티 사업과 관련해서 지구 내 위치한 토평정수장의 이전이 불가피한 사항으로 선제적인 계획을 수립해서 대응하겠습니다.
토평정수장 이전과 관련 수도법에 따른 수도기본계획 변경 및 선제적인 정수장 이전 관련 계획을 검토하여 LH와 차질 없이 협의 추진하겠습니다.
1134쪽입니다.
수도정비계획 변경 수립 및 정수장 기술 진단 용역입니다.
수도법 제5조에 따라 추진되는 법정계획으로 우리 시의 개발사업 등 여건 변화 사항을 반영하여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과 시설의 합리적인 설치 및 관리계획을 수립하겠습니다.
수도정비계획에 반영할 주요 개발사업으로 사노동 북부권역 종합개발과 갈매역세권 토평2 지구사업을 비롯한 관내 재개발 재건축 사업 등 우리 시의 중장기적인 수도공급 계획을 검토·수립하겠습니다.
1135쪽입니다.
상수관망 통합관리 시스템 유지관리입니다.
상수도 블록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망과 유량계 등의 측정데이터를 PC 및 모바일 앱으로 실시간 감시를 통해 비상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시스템을 현재 운영하고 있습니다.
원활하고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 관리를 위해 유지관리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1136쪽입니다.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광역 수도관 개선 사업입니다.
한국 수자원공사에서 공급받는 광역 3단계 송수관로는 1987년도에 설치되어 현재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2023년부터 연차별로 관로 개선 공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5년도에도 지속하여 광역 상수도 관로에 대한 개량 및 교체 공사를 실시하여 깨끗하고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 체계를 유지하겠습니다.
1137쪽입니다.
노후관 교체를 통한 안정적이고 맑은 수돗물 공급입니다.
20년이 넘은 노후 상수도관로 및 누수 예상 지역의 상수도관을 선제적으로 교체하여 시민 여러분이 불편 없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급수 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소요 사업비는 약 2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노후상수도관 2,500미터를 교체 추진하여 깨끗한 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138쪽입니다.
화재 응급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소화전 설치 확대입니다.
재난 현장에서 신속하고 원활한 화재진압 및 급수 공급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개년에 걸쳐 총 50개의 소화전을 추가 설치토록 하겠습니다.
현재 구리시 관내에는 총 414개의 소화전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속해서 시설 유지관리에 만전을 다하겠습니다.
다음은 1139쪽입니다.
쾌적하고 안락한 약수터 관리입니다.
우리 시 관내에는 아차산에 9개소 인창동 새마을 부락 뒤편에 1개소 등 총 10개소의 약수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께 쾌적한 약수터 환경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수질 및 시설관리를 통해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도록 관리에 만전을 다하겠습니다.
1140쪽입니다.
건축물 노후 수도배관 교체사업비 지원 사업입니다.
구리시 관내 20년 이상 경과된 연면적 130㎡ 이하의 주택을 대상으로 녹물이 나오는 수도관의 개량 공사비를 면적에 따라 차등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녹물로 고통받는 관내 시민들이 맑고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141쪽입니다.
토평정수장 고품질 수돗물 생산 및 꼼꼼한 수질관리입니다.
토평정수장의 상수원인 한강원수로부터 수용가의 수도꼭지까지 체계적이고 꼼꼼한 수질관리로 고품질의 수돗물을 생산 시민 여러분께 공급하겠습니다.
1142쪽입니다.
광역 상수도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입니다.
우리 시의 수돗물 공급은 우리 시 자체 생산 32% 서울시 42% 수자원공사 26%로 외부에서 공급받는 비율이 68%로 다소 높은 편입니다.
서울시 상수도와 광역 상수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구리시민에게 공급하는 수돗물의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겠습니다.
다음은 1143쪽입니다.
토평정수장 내 각종 시설물 유지 및 보수입니다.
토평정수장은 일일 3만 톤의 수돗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급수 구역은 교문1·2동 토평동과 아천동이고 약 1만 8000여 세대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자체 점검과 유지 보수로 설비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고장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에 만전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수도과 업무보고를 마치고 다음은 하수과 주요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148쪽입니다.
하수과는 최성미 과장님을 중심으로 사람과 자연의 지속가능 공존을 위한 물 통합관리를 목표로 설정하고 조직은 4개 팀 직원은 현원 17명입니다.
1156쪽입니다.
하수처리장 지하화 및 상부 체육공원 활용 사업입니다.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환경보전 및 상부 체육공원 조성 등 도시공간의 효율적 활용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2021년 하수도정비 기본계획 부분 변경승인을 받았으나 토평2지구 사업계획으로 인해 지구지정 및 관내 대규모 개발사업 시행에 따른 시설용량을 재검토하고 기타 변경사항들을 반영하여 하수도정비계획 변경승인 등 행정절차를 진행하겠습니다.
다음은 1157쪽입니다.
수택 도시침수대응 하수도 정비 사업입니다.
환경부로부터 2021년 하수도정비 중점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인창동 수택동 일대 도시침수 예방을 위한 사업으로 우수관 개량 및 신설을 통하여 강화된 방재 성능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1158쪽입니다.
노후 하수관로 정비 사업입니다.
하수관로 정밀조사 결과 노후 하수관로로 판정된 구간을 정비하여 누수에 의한 지반침하를 방지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환경부 재원 협의 계약심사 등 공사 발주를 위한 행정절차를 조속히 이행하여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1159쪽입니다.
하수도 공기업 재정 건전성 도모입니다.
하수처리 총괄원가를 분석하고 원가 절감 세입 증대 방안을 강구하여 요금 현실화율 개선을 통한 하수도 공기업 재정 건전성을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하수도 공기업 특별회계는 올해 행정안전부의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나’등급을 달성하였습니다.
내년도에도 2025년 공기업 경영평가 대상기간에 해당되는바 평가지표를 분석하고 체계적인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더 좋은 성과를 받을 수 있도록 평가 준비도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1160쪽입니다.
시민참여 생태가치 확산 구리시 곤충생태관 운영입니다.
곤충들의 친환경 서식지를 조성하여 즐거운 생태 체험학습 공간으로 활용하고 생애주기별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과 사계절 특성에 맞는 특별 전시행사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환경부에서 주관하는 우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인증 받아 구리시 곤충생태관의 공신력을 높이는 등 신뢰받는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1161쪽 차집관로 정비 사업입니다.
구리하수처리시설 불명수 유입 차단을 위해 왕숙천 둔치에 설치된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차집관로를 정비하는 사업으로 2024년 10월 말 현재 공정률은 약 20%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준공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다음은 1162쪽입니다.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변경 수립 용역입니다.
하수도법 제5조 규정에 의거 우리 시 도시계획에 부합하는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사항으로 하수처리장 노후화 재건설 및 수질 강화 사업 갈매역세권 하수처리장 신설 계획은 환경부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토평2지구 개발사업 테크노벨리 등 대규모 개발사업 반영을 위해서 용역이 일시정지된 상황입니다.
개발사업이 구체화 되면 신속히 용역을 재개하여 우리 시 지역개발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겠습니다.
1163쪽 하수도시설 정비 및 준설공사 추진입니다.
하수관로 맨홀 등 하수도 시설물의 막힘 현상으로 오수 역류 침수 피해 악취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점관리지역 및 취약지역에 대한 준설공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며 하수도 시설물 파손 등이 발생할 경우 신속히 보수공사를 실시 시민 불편 해소 및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환경을 조성해 나가겠습니다.
1164쪽입니다.
하수처리시설 관리대행 운영 및 전문성 강화입니다.
현재 하수처리시설은 ㈜에코비트워터 외 3개사가 관리대행하고 있으며 소요 예산은 연 91억 6,800만 원입니다.
하수처리시설 관리대행 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 책임감을 강화하고 투명성을 확보해 나가겠습니다.
1165쪽입니다.
시설물 유지관리 체계 구축으로 운영효율 향상입니다.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정밀 안전점검과 기술진단을 실시하고 체계적인 보수 계획을 수립 개보수를 추진하여 하수처리시설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1166쪽입니다.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통한 물순환체계 구축입니다.
하수 처리수를 하천에 단순 방류 하지 않고 도로 자동 청소시스템 재이용수 공급기 운영 등으로 도로청소용수 화장실용수 및 조경용수 등으로 재사용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 확보와 물순환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습니다.
다음은 1167쪽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자립화 계획 수립입니다.
구리 하수처리시설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대상에 해당되어 2025년 에너지 자립 목표율을 22% 이상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생물 반응조 송풍량 및 탈취시설 운영시간을 조정하고 고효율 장비를 확대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감축해 나갈 계획입니다.
다음은 1168쪽입니다.
구리시 하수 찌꺼기 처리시설 개선 사업입니다.
노후 된 하수 찌꺼기 소각시설을 개보수하고 건조 시설을 신설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265억 2,600만 원입니다.
현재 공정률은 95%며 건조 시설은 설치 완료하여 정상 가동 중에 있으며 소각시설은 올해 말까지 공사를 마무리하고 내년 3월까지 시 운전을 시행하고 차질 없이 공사 사업을 완료하겠습니다.
1169쪽입니다.
노후 분뇨처리시설 교체 및 개량 사업입니다.
하수처리시설 및 악취 기술 진단 시 개선이 요구된 분뇨처리장 악취방지시설과 소화조 가온용 보일러를 교체하고 시특법에 따른 하수처리장 정밀 안전 점검을 시행하여 안정적인 하수처리장을 운영하겠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도 환경관리사업소 주요 업무계획 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존경하는 신동화 의장님과 의원 여러분! 끝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년에도 환경사업소 소관 모든 사업들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의장 신동화 조명아 소장님 성실하게 보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시립도서관 소관 사항에 대하여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김영미 시립도서관장께서는 보고에 임해 주시기 바랍니다.
○시립도서관장 김영미 시립도서관장 김영미입니다.
보고에 앞서 연일 계속되는 의정활동에 노고가 많으신 신동화 의장님과 의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지금부터 2025년도 시립도서관 주요 업무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025년 시립도서관 주요 업무계획 보고 내용은 부서 목표 및 추진 전략 기본현황 2024년 주요성과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 순이 되겠습니다.
의원님들께서 양해하여 주신다면 보고 순서 중 부서 목표 및 추진 전략과 2024년 주요성과는 보고자료로 갈음하도록 하겠습니다.
1177쪽 기본현황입니다.
시립도서관은 5개 팀 정원 36명에 현재 30.3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기타 인력으로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천문대 등 11개 관리시설 운영을 위한 임기제공무원 28명 청원경찰 포함 공무직 13명 연장 및 주말 운영 등을 위한 기간제 58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1188쪽 2025년도 추진계획을 보고드리겠습니다.
공약사항으로 제3회 구리시 책의 날 행사 개최입니다.
4월 도서관 주간 및 책의 날을 기념하여 구리시민이 책을 매개로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북페스티벌로 제3회 구리시 책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도서관별 연계 행사도 4월 한 달간 다채롭게 운영할 계획입니다.
1189쪽 역점사업 분야 보고드리겠습니다.
인창도서관 노후 공간 환경개선입니다.
인창도서관은 2003년 준공한 건물로 노화된 공간을 개선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이에 지하 집중열람실 2개소 중 1개소는 자율독서와 문화행사가 병행 가능한 북카페형 공간으로 1개소는 집중 학습공간으로 1층은 전시와 휴식이 가능한 개방형 공간으로 개선하고자 합니다.
도비 9,000만 원을 포함 총 5억 6,000만 원의 예산이 소요될 예정입니다.
1190쪽 토평도서관 복합 전시 공간 조성입니다.
기존에 노후되어 사용하지 않고 있던 토평도서관 1층 로비 후면을 북큐레이션 프로그램 수강생 작품 등 다양한 작품전시와 홍보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운영 효율을 높이고자 합니다.
1191쪽 인창도서관 천문대 천체투영관 설치입니다.
현재 인창도서관 천문대 운영의 효율을 강화하기 위하여 주관측실 옆에 천체투영관을 추가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기상상황에 관계없이 다양한 천문 현상들을 디지털 투영시스템을 통해 감상할 수 있도록 천체투영관을 설치할 예정이며 2025년 1월부터 천체투영관의 설계하중과 공법 검토를 시작으로 2025년 9월까지 준공하여 천문대 운영을 활성화하도록 하겠습니다.
1192쪽 도서관 중심의 향토 자료 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입니다.
축적된 지역 아카이브 자료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실물 아카이브 자료를 확충하여 인창도서관에 향토 자료 상설 및 기획 전시 공간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향토 자료의 체계적 수집과 제공을 통해 지역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향토 문화유산의 보존과 계승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확고히 하고자 합니다.
1193쪽 빅데이터 기반 이용자중심 자료 확충입니다.
전자도서 등 디지털 형태의 자료 보편화와 수요 증가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전자자료 접근성을 강화하고 이용자 의견수렴과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장서 구입과 다양한 주제의 연속간행물을 확충하여 시민들의 삶에 도움을 주는 지식과 정보를 폭넓고 깊이 있게 제공하겠습니다.
1194쪽 생애주기별 평생학습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시민의 생애주기에 따라 다양하고 특색 있는 도서 연계프로그램 인문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생애 최초 독서 지원을 위한 북스타트를 운영함으로써 시민들이 도서관과 함께 성장하는 환경을 구축하겠습니다.
1195쪽 시민과 소통하는 생활 속 독서문화조성입니다.
시민 화합을 위한 주기별 독서문화 행사 사회적 독서프로그램 박완서 특화 자료 서비스 독서 장려 프로그램을 다채롭게 운영하여 생활 속에서 책과 도서관을 매개로 소통하고 즐기는 행복한 독서문화 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1196쪽 지식정보 취약계층 독서 활동 지원입니다.
지식정보에 취약한 다문화 가정 장애인 노인 등을 위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소외되는 시민이 없이 누구나 다양한 독서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197쪽 디지털 기술 기반 꿈꾸는 공작소 운영입니다.
3D프린터 등의 최신 디지털 기술을 시민들이 습득하고 창의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초 장비 교육과 다양한 메이커 체험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관내 학교 유관기관 등과 연계 협력 프로그램을 폭넓게 운영하겠습니다.
아울러 메이커 관련 공모사업도 적극 유치하여 시민들의 창의력 발현과 성장의 기회를 확대하겠습니다.
1198쪽에서 1199쪽까지 입니다.
작은 도서관 및 열린 도서관 활성화입니다.
공립 및 사립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로 지역주민들이 생활 가까이에서 정보 접근 및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하고 열린 도서관 운영을 통해 책 읽는 도시 분위기를 조성하겠습니다.
1200쪽입니다.
이용자 중심의 정보서비스 환경 구축입니다.
이용자 중심의 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조성을 위해 노후화된 전산장비 교체 공공 와이파이 추가 설치 디지털 자료실 예약관리 및 복구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등 도서관 정보와 인프라 개선 및 운영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1201쪽 안전하고 쾌적한 도서관 열람 환경 조성입니다.
관리시설 11개소의 건물 기계설비 조경 등 제반 시설관리에 만전을 기하여 시민들이 보다 쾌적하고 편리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202쪽 토평도서관 학교 연계프로그램 운영입니다.
공공도서관과 학교 도서관이 상호협력을 통해 학생들의 활발한 독서 활동과 진로 탐색을 지원하고자 다양한 연계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관련하여 정서 함양 및 미디어 독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도비 확보를 통해 양질의 강사를 각급 학교에 파견하는 등 평생교육 중심기관으로 도서관 자원을 활용한 기관 연계 교육인프라를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1203쪽입니다.
청년 미래 꿈터 운영입니다.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특화 공간으로 조성한 청년 미래 꿈터 운영 효율 강화를 위해 취업 진로 관련 특화 자료를 확충하고 다양한 정보원을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하겠습니다.
특히 청년 역량 개발 프로그램과 독서회를 운영하여 같이 고민하고 소통하는 장을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1204쪽 방정환 특화사업 추진입니다.
방정환 특화 독서프로그램 및 도서관 해설사 프로그램 운영 등 방정환의 철학과 이념을 잇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여 특화도서관으로서의 정체성 정립과 인지도를 강화하고 특화 자료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정보원을 구축하여 방정환 디지털 아카이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1205쪽 인창도서관 천문대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시장 공약사업인 인창도서관 천문대는 2024년 12월까지 공사 및 시범운영을 마무리하고 2025년 1월 정식 개관할 계획입니다.
천문대 개관 후에는 시민 전 계층을 대상으로 천체관측 영상물 상영 천문우주 체험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시민들이 도심 속 별빛 산책이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1206쪽 갈매도서관 환경 주제 특화사업 추진입니다.
환경 특화 도서관인 갈매도서관의 특색사업으로 세계 환경의 날 기념행사 환경 체험프로그램 환경 특화존 운영 환경 주제 정보서비스 제공 등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겠습니다.
1207쪽입니다.
갈매도서관 ICT 융합 독서 동기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5면 실감형 동화체험실과 어린이 자료실 내 핑거 스토리존 청소년실 내 게임 미디어스튜디오 등 ICT 체험 공간 운영을 통해 어린이 청소년들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증대시키고 오디오북 전자신문 키오스크 등 독서 정보의 다각화와 ICT 활용 능력 강화에 기여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1208쪽입니다.
‘多같이 讀 똑똑’ 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시민들이 매일 책 읽는 활동이 몸에 배도록 가족 친구 이웃 단위의 온오프라인 독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참여할 수 있는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기획하여 연중 운영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시립도서관 보고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경청하여 주신 의장님과 의원님들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참조>
○의장 신동화 김영미 관장님 자세하고 꼼꼼하게 보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의사일정 제1항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 보고의 건의 종결을 선포합니다.
존경하는 선배 동료 의원 여러분! 그리고 김완겸 행정지원국장님을 비롯한 공직자 여러분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리고 지금 생중계 방송을 시청하고 계시는 시민 여러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324회 구리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4차 본회의는 2024년 11월 25일 월요일 10시에 본 장소에서 개의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제342회 구리시의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를 마치고 산회를 선포합니다.
○출석의원 (8인)
신동화 | 김성태 | 정은철 | 권봉수 | 양경애 |
김용현 | 김한슬 | 이경희 |
○출석전문위원 (2인)
수 석 전 문 위 원 | 박재광 |
전 문 위 원 | 조정현 |
○출석공무원 (20인)
행 정 지 원 국 장 | 김완겸 |
경 제 재 정 국 장 | 김진희 |
복 지 문 화 국 장 | 원덕재 |
환경관리사업소장 | 조명아 |
기획예산담당관 | 황병진 |
일자리경제과장 | 김영준 |
산 업 지 원 과 장 | 윤갑성 |
세 정 과 장 | 강은옥 |
징 수 과 장 | 이영희 |
위 생 안 전 과 장 | 양언종 |
복 지 정 책 과 장 | 조영훈 |
노인장애인복지과장 | 김시명 |
가 족 복 지 과 정 | 전혜승 |
평 생 학 습 과 장 | 구자원 |
문 화 예 술 과 장 | 한진숙 |
환 경 과 장 | 김대범 |
자 원 순 환 과 장 | 이윤주 |
공 원 녹 지 과 장 | 김명성 |
하 수 과 장 | 최성미 |
시 립 도 서 관 장 | 김영미 |
○출석사무과직원 (4인)
사 무 과 장 | 임현일 |
의 사 팀 장 | 김찬호 |
주 무 관 | 임영헌 |
속 기 사 | 장지연 |